[사설] 이인영의 '임미리 고발' 늑장 사과, 진정성을 읽기 어렵다

입력 2020-02-19 06:30:00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18일 국회 교섭단체 대표 연설을 통해 '임미리 고발'에 대해 사과했다. 고발을 취하한 지 나흘 만이다. 이렇게 늑장을 부린 것은 사과할 생각이 없었다는 얘기밖에 안 된다.

민주당은 '고발' 사실이 알려지면서 비난 여론이 비등하자 곧바로 취하했지만 '유감' 표시만 한 채 사과하지 않았다. 이낙연 전 총리가 사과했지만 당 차원의 사과는 없었다. 임 교수의 '신상'을 털고 고발한 '친문' 지지자들의 '묻지마' 응원에 기대 비판 여론이 숙지기를 기다렸다.

그러나 생각대로 되지 않았다. 여론의 비판은 숙지기는커녕 시간이 갈수록 더 거세졌다. 결국 이 원내대표의 사과는 고발 취하, '유감' 표시와 똑같이 비판 여론에 떠밀린 '억지 춘향'인 셈이다. 이렇게 하기 싫은 사과를 억지로 하니 사과의 내용도 진정성이 없는 것은 당연하다.

이 원내대표는 '임미리 고발' 사태와 검찰 개혁, 집값 안정 등을 한데 묶어 사과했다. 이들 사안은 이렇게 뭉뚱그려 사과할 문제가 아니다. 하나하나가 문재인 정권의 비정(秕政)을 말해주는 것으로, 따로 떼어내 사안마다 상당한 시간을 들여 고해(告解)해야 할 중차대한 문제이다.

그리고 사과는 구체적이어야 한다. 무엇을 왜 잘못했는지 분명히 밝혀야 한다. 그리고 잘못을 고치고 되풀이하지 않겠다고 약속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면피용'일 뿐이다. 이 원내대표가 사과에 집어넣은 '검찰 개혁'이 그렇다. 문 정권의 검찰 개혁은 정권 비리 수사를 막으려는 '검찰 힘빼기'일 뿐이다. 사과를 하려면 이런 사실부터 인정해야 한다. 그리고 '개혁'을 중단하겠다고도 해야 한다.

이 원내대표의 사과에 그런 것은 하나도 없다. 그저 "민주당을 향했던 국민의 비판적 목소리를 외면하지 않겠다"거나 "국민의 목소리를 무겁게 받아들인다"는 등 입에 발린 소리만 했을 뿐이다. 이렇게라도 하지 않으면 문 정권의 반(反)민주 반(反)법치 폭주에 대한 국민 분노가 총선 민심으로 이어지는 사태를 차단할 수 없다는 다급함이 그대로 읽힌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