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가시화하는 보수 통합, 성공 관건은 기득권 포기이다

입력 2020-02-10 06:30:00

새로운보수당 유승민 보수재건위원장이 9일 "문재인 정권의 폭주를 막기 위해 보수는 합치라는 국민 명령을 따르겠다"며 "새보수당과 자유한국당의 신설 합당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총선 불출마도 선언했다. 지난 7일 황교안 한국당 대표에게 회동을 제안한 지 이틀 만에 양당의 해산을 통한 신설 합당을 공개 제안한 것이다. 이로써 그동안 '당위론'으로만 운위돼 왔을 뿐 구체적 진전이 없었던 보수 통합은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됐다.

유 위원장의 제안이 결실을 보게 되면 보수 세력이 4월 총선에서 문 정권과 맞붙어 싸울 힘을 갖게 된다.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기초 체력'이다. 거여(巨與)를 꺾기 위해서는 체력을 더 키워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 노력 없이 보수 세력이 4월 총선에서 문 정권 심판이란 결과를 이끌어내기는 어렵다. 결국 '신설 합당'은 범(汎)보수 세력의 총결집으로 확대 발전하는 출발점이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결집'에 참여하는 모든 세력들이 기득권을 버려야 한다. 총선을 코앞에 두고도 보수 통합이 잘 되지 않고 있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신설 합당'이 그렇다. 황 대표와 유 위원장은 지난달 설 직전부터 당 대 당 통합을 위한 비공개 협상을 시작해 의견을 조율해 왔으나 신설 합당의 주체가 누가 되느냐를 두고 이견이 좁혀지지 않았다고 한다.

또 다른 변수는 '통합신당'은 박형준 전 의원이 이끄는 혁신통합추진위원회(통추위)와 통추위가 구성한 통합신당준비위에서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한국당 내부 의견이다. 황 대표도 같은 의견인 것으로 전해진다. 무엇이 됐든 보수 통합의 참여 세력들이 보수의 가치를 최우선으로 하고 얄팍한 손익 계산에 집착하지 않아야 가능하다.

이번 총선에서 문 정권을 심판하지 못하면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나라'에서 살아야 하는 국민의 고통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이를 막을 책임은 보수 야당에 있다. 그 책임 이행을 위해서는 '통합'이 돼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모든 참여 세력이 모든 것을 내려놓아야 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