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신종코로나) 확산을 막고자 4일부터 중국 후베이성 방문 외국인 입국 금지 조치를 내린 것에 대해 자유한국당은 '늑장·부실 대응'이라고 공세를 펼쳤다.
3일 황교안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신종코로나를 '우한 폐렴'으로 지칭하며 "늑장 대응과 부실 대응이 반복되고 있다"며 "우한 폐렴에 따른 불안이 우리 경제와 민생을 마비시키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황 대표는 "마스크 대란 공포가 온 국민을 엄습하고 있다"며 "우리 마스크, 우리 국민이 먼저 충분히 써야 한다. 국내 마스크의 국외 판매를 자제하고, 외국인 관광객의 구매 수량 및 반출을 엄격히 제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심재철 원내대표도 "여전히 허둥지둥 뒷북 대응하기에 바쁘다. 그 뒷북 대응마저도 허술하기 짝이 없다"며 "우한 폐렴은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를 넘어 21세기 최악의 재앙이 되고 있다"고 했다.
아울러 한국당은 정부가 '우한 폐렴'이라는 용어를 쓰지 않고, 신종코로나가 처음 발생한 우한(武漢) 등 후베이(湖北)성만 입국 금지 대상지로 지정하는 등 중국을 의식해 지나치게 소극적인 자세를 보인다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중국인과 중국을 거친 외국인에 대한 전면적인 입국 금지 등 단호하고 강력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재차 강조했다.
심 원내대표는 또 정부의 조치에 대해 "감염 확산을 제대로 막을 수 없고, 국민 불안도 해소할 수 없는 중국 눈치 보기 '찔끔 조치'일 따름"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중국인 입국 금지 청원이 65만명을 넘었다. 이게 민심"이라며 "정부는 우한 폐렴 사태가 진정될 때까지 한시적으로 중국인 입국 금지 조치를 오늘 당장 취하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김광림 최고위원(안동)도 "대규모 전염병 이후 꼭 따라오는 게 경제 황폐화"라며 "2003년 사스 때 -0.25%p(포인트), 2009년 '신종플루'와 2015년 메르스 때 -0.2%p의 성장률 감소 효과가 있었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보수 일각에서 밀입국·제3국을 통한 입국 시도 등으로 적잖은 역효과가 일 수 있어 신중론도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당도 마냥 강경 입장을 고수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미 세계보건기구(WHO)도 '국경 폐쇄'가 비공식 밀입국을 늘려 되레 바이러스 확산을 부추기고 질병을 통제하는 데 역효과가 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여기에 중국 의존도가 높은 항공업계와 면세점업계에 직격탄이 예상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악의 경우 사태가 3, 4개월 이상 지속되면 국내 경제가 사스 당시보다도 경제성장률에 더 큰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