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코로나에 학생·학부모 불안감 커지는데… 경북 보건교사 '태부족'

입력 2020-02-02 17:34:51

보건교사 배치율 대구 99% 넘는 반면 경북 66% 불과… 업무 가중으로 인력확충 목소리

30일 오전 개학한 서울 용산초등학교에서 선생님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예방을 위해 어린이들의 체온을 측정하고 있다. 연합뉴스
30일 오전 개학한 서울 용산초등학교에서 선생님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예방을 위해 어린이들의 체온을 측정하고 있다. 연합뉴스

개학을 앞두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신종코로나) 확진자가 추가 발생하면서 학교 내 감염 방지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대구경북 지역 보건교사들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학생과 교직원의 발열 증상 점검부터 예방교육, 학부모 상담, 당국에 하루 두 차례 현황보고 등 행정업무까지 감염병 대응 업무를 대부분 보건교사 한 명이 책임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대구의 경우 보건교사 배치율이 99%를 넘는 반면 경북은 60%대에 머물고 있어 보건교사 인력 부족에 대한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다.

김광수 민주평화당 국회의원은 2일 논평을 내고 "수도권과 대도시 학교는 99%이상의 보건교사 배치율을 보이는 반면 일부 지역은 60% 수준에 불과해 보건교사 확충이 시급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김 의원이 작년 국정감사 때 교육부에서 제출받은 시·도 보건교사 배치율을 보면 대구(99.6%)를 비롯해 서울(99.9%), 부산(99.4%) 등 대도시는 90% 이상에 달했다.

하지만 경북(66.0%)을 포함해 강원(60.7%), 충북(64.6%), 전북(61.0%) 등은 60% 대에 머물러 보건교사 배치율의 지역별 편차가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보건교사 배치율이 높은 대도시의 경우에도 학생 수가 1천명이 넘어도 보건교사는 1명밖에 두지 않아 응급 상황 대처가 어려운 실정이다.

아울러 현행 학교보건법은 모든 학교에 보건교사를 배치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규모가 작은 학교에는 '순회보건교사'를 둘 수 있다고 예외를 인정하고 있어 전국적으로 약 2천300여개교에는 상근 보건교사가 없는 상황이다.

김 의원은 "보건 교사들이 감염방지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보건교사 확충 또는 위급 상황 시 지원인력 투입 등 관련 대책을 하루 빨리 세워야 한다"고 촉구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