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고 활용·다변화 노력으로 '선방'…삼성·SK·LG "실적 악영향 전무"
소재부품 경쟁력 강화 노력 '마중물'…"기회비용·불확실성은 악재"
일본이 한국에 대한 3개 핵심소재 수출규제 조치를 단행한 이후 약 5개월 간 국내 반도체·디스플레이업계의 생산 차질이 사실상 전혀 없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24일 산업통상자원부와 관련 업계 등에 따르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등 4개 업체는 지난 7월초 일본의 수출규제 발표 이후 이에 따른 생산 차질이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는 입장을 최근 정부에 전달했다.
당초 불화수소,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포토레지스트 등 3개 품목의 대일 의존도가 워낙 높아 수출규제가 2~3개월 이상 지속할 경우 생산라인 전면 중단 등 '치명상'을 입을 것이라는 우려가 컸으나 결과적으로는 심리적 불안감을 제외하고는 '별무효과'가 된 셈이다. 각 업체가 '컨틴전시 플랜(비상계획)'을 통해 기존에 확보하고 있던 재고물량의 생산라인 투입을 효율화하는 한편 이들 품목의 수입채널을 유럽 등으로 다변화하고 국산화 노력도 병행한 게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특히 한국 정부가 세계무역기구(WTO) 분쟁 절차에 돌입하면서 일본이 '부적절한 수출통제'라는 국제사회 비판에서 벗어나기 위해 부분적으로나마 이들 품목에 대한 수출허가를 잇따라 내준 것도 '숨통'을 틔운 요인이 됐다.
한국 정부 입장에서는 제조업 혁신을 위한 핵심과제 가운데 하나로 '소재·부품·장비산업의 자립화'를 추진하던 중에 일본의 수출규제가 오히려 '마중물' 역할을 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지난해 말 산업부가 '2019년 새해 업무보고'를 통해 소재·부품·장비산업 경쟁력 강화를 올해 핵심 정책과제로 제시했음에도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했으나 최근 들어 범국민적 관심사로 떠오르면서 정책 추진에 힘을 받게 됐다는 것이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일본 정부가 3개 품목을 개별적으로 심사하고, 백색국가(수출절차 우대국)에서 제외한 조치도 유지한다는 방침을 밝힌 데 대해 불확실성은 여전하다는 우려를 내놓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지금까지 생산 차질이 없다고 해서 앞으로 계속 없으리라는 보장은 없다"면서 "한일 국장급 정책대화를 통해 수출규제와 관련한 타결점을 찾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