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용 59㎡ 이하 민간 아파트 공급 태부족…아파트같은 설계에 주거 만족도 높아
대구시내 소형 아파트 공급이 수요에 못미치면서 '아파텔'로 불리는 아파트단지 내 주거용 오피스텔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분양전문광고대행사 애드메이저 기업부설연구소가 발간한 '2019 상반기 대구경북주택동향보고서'에 따르면 올 상반기 대구에서 분양한 23개 단지, 1만4천667가구 가운데 전용 59㎡이하 아파트는 4%(599가구)에 불과했다.
이와 비교해 주상복합단지 내 주거용 오피스텔은 1천486실이 분양, 아파트 공급량의 10%를 넘어섰다. 이는 중심상업지구에 주상복합단지를 공급하는 건설사들이 분양이 까다로운 상가 물량을 줄이고 주거용 오피스텔을 늘린 덕분으로 풀이된다.
전용면적 84㎡인 주거용 오피스텔 는 전용면적 59㎡인 아파트와 크기가 비슷하다. 오피스텔은 발코니가 없고 계약면적(주거면적+주거공용면적+기타공용면적)으로 공급하기 때문에 아파트보다 실사용면적이 좁다. 소형 아파트의 대체제로 주거용 오피스텔이 주목받는 이유다.
실제 지난 5월 아이에스동서가 수성구 범어동에 공급한 '수성범어W' 내 전용 84㎡ 오피스텔은 평균 9.1대 1의 청약경쟁률을 보였다. 앞서 지난해 10월 수성구 신매동에 분양한 코오롱글로벌의 '시지 코오롱하늘채 스카이뷰' 역시 평균 17.7대 1 청약경쟁률을 기록했다.
주거용 오피스텔이 소형 아파트와 비슷한 평면으로 설계되는 점도 인기를 끄는 요인이다. 최근 주거용 오피스텔은 욕실 2개에 알파룸, 드레스룸, 팬트리 등을 갖추는 등 2, 3인 가구가 살기에 적합한 생활공간으로 구성되는 경향이 있다. 특히 단지 내 주거용 오피스텔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관리시스템과 아파트의 부대시설을 모두 이용할 수 있어 주거만족도가 높다.

올 하반기에도 주거용 오피스텔 공급은 이어질 전망이다. 서한이 수성구 만촌동에 공급하는 '만촌역 서한포레스트'는 전용 77~84㎡의 주거용 오피스텔 156실을 공급한다. 중구 '청라언덕역 서한포레스트'에도 전용 84㎡의 오피스텔 27실이 들어서는 등 올 하반기에만 7개 단지에 1천실의 주거용 오피스텔이 공급될 전망이다.
오피스텔은 다주택자나 주택청약통장 가입 등 청약 제한이 없다. 다만 아파트보다 세금 부담이 큰 점은 단점이다. 오피스텔의 취득세는 4.6%로 1.1~3.5%인 아파트보다 높다. 재산세는 시가표준액의 70%에 단일세율(0.25%)이 적용된다.
대구 부동산업계 한 관계자는 "소형 아파트 공급이 귀한데다 부동산 규제에서 자유로운 주거용 오피스텔에 대한 관심이 높다"면서 "최근 공급되는 주거용 오피스텔은 아파트처럼 설계돼 투자 수익과 실거주를 동시에 잡을 수 있는 상품으로 꼽힌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민주당 대선 후보 이재명 확정…TK 출신 6번째 대통령 되나
김재섭, 전장연 방지법 발의…"민주당도 동의해야"
이재명 "함께 사는 세상 만들 것"…이승만·박정희 등 묘역참배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文 "이재명, 큰 박수로 축하…김경수엔 위로 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