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오염토양 정화는 물론 석포제련소 이전·폐쇄 추진해야

입력 2018-12-21 06:30:00

영풍석포제련소에 대해 봉화군이 주변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2020년 11월 말까지 제련소 주변 중금속 오염토양 56만845㎡를 정화하라고 명령했다. 1970년 공장 설립 후 처음으로 제련소 주변 오염토양 정화가 이뤄질 전망이다.

봉화군이 명령까지 내릴 정도로 영풍제련소 주변 토양오염이 심각하다. 2015~2016년 한국환경공단이 제련소 주변 반경 4㎞ 토양오염을 조사했더니 아연·비소 등 중금속 우려 기준 초과 면적이 70만8천980㎡나 됐다. 70여년간 운영되다 폐쇄된 충남 서천 장항제련소에서 영풍제련소 토양오염 실상을 유추할 수 있다. 장항제련소 경우 1급 발암물질인 비소와 이타이이타이병을 유발하는 카드뮴 등 유해 중금속으로 토양이 오염된 것으로 드러났다. 주민들은 제련소 탓에 발생한 질병으로 신음했고, 작물에선 중금속이 검출돼 전량 폐기됐다. 현재 4천여억원을 들여 토양정화가 진행 중이다.

영풍제련소는 오염토양 정화 명령 이행 입장을 내놓았다. 제련소 내부 오염토양을 정화하라는 조치에 대해선 법정 공방까지 벌인 것과는 달리 이번엔 수용 방침을 밝혔다. 낙동강 상류 오염원으로 지목된 제련소에 대한 주민, 시민·환경단체, 행정기관, 환경부, 정치권 압박이 주효했다. 영풍제련소는 주변은 물론 제련소 내부 오염토양에 대해서도 정화에 나서야 한다. 봉화군은 정화가 제대로 이뤄지는지 감시·독려해야 할 것이다.

차제에 영풍제련소 이전·폐쇄를 추진해야 한다. 영남의 식수원인 낙동강 최상류에서 제련소가 계속 공장을 돌린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 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영풍제련소 폐쇄와 이전 등의 조치를 적극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정치권에선 제련소 이전을 위한 특별법 제정 논의가 본격화하고 있다. 지역사회의 거센 폐쇄 요구에도 불구하고 반세기 가깝도록 제련소가 가동한다는 것은 환경 선진국에 걸맞지 않은 일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