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내년 보호무역 지속 확산…철저한 리스크관리 모드로"

입력 2018-12-10 16:43:39

"무역갈등 장기화 우려…전략 재점검, 바이어 관리도 강화해야"

내년에도 전세계적으로 보호무역주의가 계속 득세할 전망이어서 우리 기업들이 단기 대책과 중장기 전략을 모두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국무역협회는 10일 '2018년 통상이슈 점검 및 2019년 통상환경 전망'에서 "2019년에도 보호무역주의 기조와 불확실한 통상환경이 지속할 것으로 예상함에 따라 우리 기업들은 철저한 리스크 관리 모드로 전환하고 통상환경의 큰 흐름과 변화를 인지해 단기 대응방안과 중장기 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내년에는 미국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무역구제 조치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미국이 자동차와 자동차부품에 대해 '무역확장법 232조' 관세를 부과할 경우 파장이 커질 것으로 봤다.

또 당분간 휴전 상태인 미중 통상분쟁이 본질적으로 미래 산업기술 패권을 둘러싼 주도권 경쟁이며, 미 의회가 중국 통상정책에 초당적으로 대처하는 점을 고려하면 갈등이 장기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미국 이익을 우선하는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이 다른 무역협정에도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했다.

이달 말 발효되는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과 내년 타결을 목표로 하는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등 메가 자유무역협정(FTA)과 세계무역기구(WTO) 개혁 논의가 통상환경에 미칠 영향도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기업들이 단기적으로 무역구제 조치를 수시로 모니터링하면서 신규 시장 진출 시에도 이를 꼼꼼히 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