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갈등 장기화 우려…전략 재점검, 바이어 관리도 강화해야"
내년에도 전세계적으로 보호무역주의가 계속 득세할 전망이어서 우리 기업들이 단기 대책과 중장기 전략을 모두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국무역협회는 10일 '2018년 통상이슈 점검 및 2019년 통상환경 전망'에서 "2019년에도 보호무역주의 기조와 불확실한 통상환경이 지속할 것으로 예상함에 따라 우리 기업들은 철저한 리스크 관리 모드로 전환하고 통상환경의 큰 흐름과 변화를 인지해 단기 대응방안과 중장기 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내년에는 미국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무역구제 조치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미국이 자동차와 자동차부품에 대해 '무역확장법 232조' 관세를 부과할 경우 파장이 커질 것으로 봤다.
또 당분간 휴전 상태인 미중 통상분쟁이 본질적으로 미래 산업기술 패권을 둘러싼 주도권 경쟁이며, 미 의회가 중국 통상정책에 초당적으로 대처하는 점을 고려하면 갈등이 장기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미국 이익을 우선하는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이 다른 무역협정에도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했다.
이달 말 발효되는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과 내년 타결을 목표로 하는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등 메가 자유무역협정(FTA)과 세계무역기구(WTO) 개혁 논의가 통상환경에 미칠 영향도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기업들이 단기적으로 무역구제 조치를 수시로 모니터링하면서 신규 시장 진출 시에도 이를 꼼꼼히 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