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방치된 창조혁신센터, 정치만 보이고 국가 경제는 안 보이나

입력 2018-11-27 06:30:00

지역 '혁신 창업'의 모닥불이 꺼지고 있다. 미래 신산업의 동력이자 국가 경쟁력의 지렛대로 기대를 모은 창조혁신센터가 정부 정책의 흐름 밖으로 밀려나면서 예산이 깎이고 대기업 관심마저 줄어 성과가 떨어지고 있어서다. 이대로라면 지역 창업 생태계의 연쇄적인 붕괴와 침체가 불가피하다.

정부는 올해 전국 17곳 창조혁신센터의 역할과 기능을 재편했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면서 국비 지원도 30% 이상 줄었다. 삼성·LG 등 지역별로 창업 육성 지원을 전담해온 대기업을 대신해 지역 중소기업과 대학에 그 역할을 맡겼다. 이런 급격한 벤처 환경의 변화가 결국 스타트업 위축과 기술혁신 의지를 꺾는다는 점에서 재고할 문제다.

2014년 출범 이후 불과 몇 년 새 '창업 허브'라는 목표까지 흔들리면서 이제 지역 혁신센터는 천덕꾸러기나 다름없다. 창업 활성화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나 기술 경쟁력 강화도 헛구호가 될 공산이 커졌다. 창업 인큐베이터가 되어야 할 창조혁신센터가 이렇듯 정부의 무관심 속에 먼지만 쌓여간다면 결코 단순한 문제가 아니다.

특히 대구 창조혁신센터의 부진은 뼈아프다. 최근 4년간 전국 혁신센터 중 대구의 시제품 제작 실적이 꼴찌다. 매출 증가와 신규 채용이 8위, 교육 강연은 11위에 그쳤다. 특히 멘토 역할을 해온 삼성이 조금씩 발을 빼면서 대구 센터의 침체마저 우려된다. 물론 여러 창업보육 기관과의 기능 중복 등 일부 문제점은 있다. 하지만 역할 분담이나 프로그램 특화 등 벤처 기업의 생존 가능성을 높이는 최적의 방안을 찾는다면 큰 문제는 아니다.

혁신센터의 역량이 모자라면 더 북돋우고 키우는 게 순서다. 되레 정부가 핵심 역량을 분산시키거나 외면하는 것은 책임 있는 자세가 아니다. 정치적 판단이 아니라 국가 경제를 먼저 봐야 할 때다. 그래야 문재인 정부가 강조하는 '혁신성장'을 국민이 이해할 것 아닌가.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