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연구원 퇴행성뇌질환 치료물질 12억원 규모 기술 이전

입력 2018-11-26 16:36:37 수정 2018-11-26 20:31:13

한국뇌연구원(뇌연구원)이 자체 연구'개발한 뇌 질환 치료물질 기술을 국내 제약기업에 기술료를 받고 이전했다. 이 기술은 시판 중인 치료제를 이용한 것이어서 임상 기간을 크게 앞당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사업화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를 받는다.

뇌연구원은 26일 본관에서 협약식을 열고, 퇴행성뇌질환 치료물질 기술을 보로노이㈜에 이전했다. 이 약물은 뇌연구원 뇌질환연구부의 허향숙 박사 연구팀이 개발했다. 뇌연구원은 보로노이㈜에서 정액기술료 12억원과 제품 판매 때 총매출액의 2.5%를 받게 된다.

허 박사 연구팀은 기존에 희귀질환 치료제로 사용되던 저분자 물질이 퇴행성뇌질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 실험용 쥐(마우스)를 이용한 연구 결과 이 물질은 치매 등 퇴행성뇌질환과 관련된 뇌 염증 반응을 감소시켰다.

또 연구팀은 이 물질이 치매의 원인인 '아밀로이드 플라크'의 생성을 억제하고 타우 단백질의 인산화도 떨어뜨리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기억력에 관여하는 수상돌기 가시(신경세포 수상돌기 표면에 돌출된 구조) 형성을 증가시킨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신약 개발은 연구 착수부터 임상까지 보통 10~15년이 걸리지만, 연구팀이 개발한 약물은 이미 시판 중인 희귀질환 치료제를 이용했기 때문에 임상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김현태 보로노이㈜ 대표는 "이번 기술 이전을 통해 마땅한 치료제가 없는 알츠하이머 치매로 고통받는 환자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할 기회를 얻게 되었다"라고 평가했다.

허향숙 박사는 "앞으로 알츠하이머병 등 퇴행성뇌질환 치료용 약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