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뿌리 상생과제로 추진 중인 '대구경북공무원교육원'(가칭) 후보지에 관심(본지 10월 29일 자 4면 보도)이 쏠리는 가운데 '경북 본원, 대구 분원' 형태가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도와 시는 후보지를 두고 ▷경북도청 신도시 ▷기존 경북공무원교육원 확대·개편 ▷시·도 경계 제3의 지역 등을 검토했지만, 모두 장점보다 단점이 더 큰 것으로 보고 있다.
우선 경북도청 신도시 후보지는 대구시가 난색을 보인다. 시 교육원이 상징성이 있는 데다 수혜자인 직원 의견 수렴 없이 일방적으로 먼 곳으로 이전하면 반발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곳은 2010년 도가 도청신도시 조성 계획을 구상하며 일찌감치 경북공무원교육원 이전지로 정해진 곳이어서 대구경북공무원교육원 후보지로 첫 손에 꼽혔다.
기존 경북공무원교육원을 도청 신도시로 이전하지 않고 확대·개편하는 방안도 쉽지 않다. 앞서 신도시로 옮기기로 한 교육원을 다른 곳에 설립하면 안동·예천 주민과 도의회 등의 거센 반발에 직면할 수 있다.
제3의 후보지는 다른 시·군이 유치전에 뛰어들어 오히려 지역 갈등만 부추긴다는 지적이다.
이러한 이유로 대구경북공무원교육원의 '경북(도청신도시) 본원, 대구(기존 경북공무원교육원·대구 북구 학정동) 분원' 형태가 '현실적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도는 기존 교육원 이전 계획을 그대로 추진해 안동·예천 주민, 도의회 등의 반발을 없앨 수 있다. 시는 중구청 건물 일부를 빌려쓰는 상황에서 벗어나 별도 건물을 확보, 교육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또 신임 공무원을 대상으로 본원과 분원을 교차해 교육받도록 하는 등 각종 '운영의 묘'도 살릴 수 있다.
문제는 상징성과 비용이다. 본원-분원 형태로 할 경우 '한뿌리 상생 사업'이라는 상징성이 크게 떨어질 수 있다. 비용 문제는 넘어야 할 산이다. 도청신도시에 본원도 신축하고 기존 경북공무원교육원까지 분원을 위해 리모델링을 할 경우 비용이 이중으로 들어가기 때문이다. 게다가 설립 비용을 절반씩 부담해야 하는데, 도는 이미 경북공무원교육원 이전 예산을 마련해뒀지만, 시는 예산 수백억원을 새로 마련해야 한다.
한편 권영진 대구시장과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지난 8월 13일 경북도청에서 열린 대구 경북한 뿌리상생위원회 총회에서 '대구경북 공무원의 상생의지를 다지기 위해 단순 교육 프로그램 공유가 아닌 통합 대구경북공무원교육원을 설립하자'고 밝힌 바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