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중간선거 후 7∼8일 폼페이오-김영철 뉴욕서 회동 가능성
사찰단 구성·영변 폐기·제재 완화·정상회담 등 테이블에
고위급 회담전 제재 완화-검증 놓고 북미 기싸움 치열
북미고위급 회담이 이르면 7∼8일(이하 현지시간) 열릴 것으로 알려져 이번주 북핵 협상에 새로운 돌파구가 마련될지 주목된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지난 2일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일정을 예고한 바 있다. 그는 "다음주 (북한 측) 나의 카운터파트인 '2인자'(the number two person)와 일련의 대화를 갖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4일 외교 소식통들은 6일 미국 중간선거가 치러진 뒤 이르면 7∼8일 이틀간 뉴욕에서 폼페이오 장관과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이 유력시되는 북측 대표 간의 회담이 열릴 것으로 예상한다.
여기에 북미 실무협상 수석대표인 스티븐 비건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와 최선희 외무성 부상도 동석할 가능성에 전문가들은 주목하고 있다.
외교가에선 지난달 7일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의 방북 협의 이후 한 달 만에 북미 간 고위급 대화가 재개되는 데 촉각을 곤두세운다. 무엇보다 미 중간선거 후 열린다는 점에서 '선거용 레토릭'이 아닌 본격적인 협상의 장(場)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표출한다.
고위급 회담에서 우선 풍계리 핵실험장과 동창리 미사일 엔진 실험장에 대한 사찰단 구성 및 파견 일정을 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폼페이오 장관의 지난달 방북 때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약속한 사항이다.
더불어 핵신고와 검증, 영변 핵시설 폐기, 제재 완화, 종전선언 등 북미가 테이블 위에 올려놓은 사안들을 조합하는 비핵화 로드맵 마련과 제2차 북미정상회담 일정과 장소 협의도 중요한 의제다.
이번 협상은 지난 6월 12일 1차 북미정상회담 이후 구체적 진전은 없지만, 대화의 흐름을 이어온 북핵 협상이 새로운 동력을 얻느냐, 본격적 교착 국면으로 들어가느냐의 갈림길이 될 것으로 외교가는 보고 있다.
일단 고위급 회담을 통해 대화의 모멘텀을 이어간다는 측면에서는 긍정적이라는데 이견이 없다.
다만 풍계리·동창리 사찰단 수용 문제 등과 관련해 합의가 도출되느냐 마느냐는 다음 협상에 중요한 바로미터가 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만약 7월 폼페이오 방북 협의 때처럼 상호 입장 차이만 확인하고 북미 정상회담은 시기를 기약할 수 없을 경우 북핵 협상에 빨간 불이 켜질 수 있다.
미국 내부에서도 비핵화 회의론이 커지고, 북한 내부에서도 이미 운을 떼기 시작한 병진노선 복귀 목소리에 힘이 실릴 수 있어서다.
아울러 상·하원의 다수당 자리를 놓고 경합하는 미 중간선거 결과가 이번 고위급 회담에 변수가 될 가능성도 거론된다. 하원은 물론 상원 선거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의 공화당이 패배한다면 야당인 민주당의 공세가 거세져 트럼프 미 행정부의 기존 대북정책이 순로롭지 않을 수 있다. 미 공화당이 상원 다수를 지키고 민주당에 하원 다수당 지위를 내주는 경우에도 트럼프 미 행정부에 일정 수준 제동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