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도내 아스콘 공장 실태 전수 조사 나서

입력 2018-09-30 18:30:35

연말까지 가동 실태, 오염물질 배출 현황 등 파악

경북도가 도내 아스콘 공장 실태에 대한 전수조사에 나선다. 아스콘 공장에서 벤조피렌과 같은 발암물질이 배출되지만 그동안 관리·감독의 사각지대에 있다는 점이 드러나서다.

환경부가 아스콘 공장 오염물질 배출기준을 강화하고, 각 지자체가 실태 점검에 나서고 있으나 도내에는 벤조피렌 검사 장비조차 없는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경북도에 따르면 도내 아스콘 공장 78곳은 먼지,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등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에 따른 환경 당국의 관리·감독을 받고 있다. 하지만 최근 경기도 등 타 지역 아스콘 공장 제조과정에서 발암물질인 벤젠, 포름알데히드, 벤조피렌 등도 발생한다는 점이 드러났다. 경기도는 도내 아스콘 공장을 전수 점검하고, 일부는 사용중지와 폐쇄 등을 하며 강력한 행정조치에 나서기도 했다.

이와 관련, 환경부도 지난 8월 아스콘 제조업체 대기유해물질(먼지,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벤젠 등) 기준을 대폭 강화하고, 벤조피렌 배출농도 기준을 신설하는 등 대책을 내놨다. 환경부는 여론수렴 등을 거쳐 2020년부터 새 기준을 적용한다.

이에 경북도는 올해 말까지 도와 시·군 담당 공무원 50여 명을 투입해 도내 아스콘 공장 실태조사를 진행한다. 이를 통해 일반 현황과 가동 실태, 오염물질 배출 현황, 배출(방지) 시설 및 굴뚝정보 등을 파악하고, 새 법적 기준에 맞춘 오염물질 배출량 재산정, 사용연료의 전환, 각종 시설 개선 등을 지도한다.

만약 자체 개선이 이뤄지지 않거나 점검 결과 공장이 입지할 수 없는 곳이면 사용중지 또는 폐쇄 등의 강력한 행정조치를 내릴 계획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