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피린이 암 생존율을 높이고 암 전이 위험까지 낮추는 효과가 있다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
영국 카디프 대학의 피터 엘우드 역학 교수 연구팀이 아스피린을 복용하는 암 환자 총 12만 명, 아스피린을 복용하지 않는 암 환자 총 40만 명이 대상이 된 연구 논문 71편의 자료를 종합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UPI 통신과 메디컬 익스프레스가 26일 보도했다.
아스피린을 복용하는 암 환자는 암 진단 후 어느 시점에서도 살아 있을 가능성이 아스피린을 복용하지 않는 환자보다 20~30%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엘우드 교수는 밝혔다.
아스피린을 복용하는 암 환자는 또 암세포가 다른 부위로 전이될 가능성도 아스피린을 복용하지 않는 환자에 비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논문 중 거의 절반은 대장암 환자가 대상이었고 나머지 논문은 대부분 유방암, 전립선암 환자가 대상이었다. 이 밖에 흔치 않은 암 환자가 대상이 된 연구 논문은 몇 편 되지 않았다.
그러나 전체를 종합하면 모든 암에 아스피린이 이 같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엘우드 교수는 설명했다.
다만 이 연구 논문들은 암 치료 목적이 아닌 다른 이유로 아스피린을 복용하는 환자들이 대상이 된 단순한 관찰연구이고 아스피린과 암 사이의 연관성을 집중적으로 분석한 무작위-대조군 설정 임상시험이 아니기 때문에 이러한 효과를 확증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그는 지적했다.
또 이러한 증거들은 100% 일관된 것은 아니고 아스피린이 효과가 없음을 보여주는 연구 논문도 몇 편 있었었다고 엘우드 교수는 밝혔다.
현재 이를 증명하기 위한 무작위-대조군 설정 임상시험이 여러 건 진행 중이며 결과가 나오기까지는 몇 년이 걸릴 것이라고 그는 덧붙였다.
연구팀은 아스피린의 가장 큰 부작용인 내출혈 위험이 어느 정도인지도 살펴봤다.
전체적으로 '심각한' 내출혈이 발생한 환자는 아주 적었고 발생률은 아스피린 그룹이나 아스피린 이외의 이유로 자연적으로 위 출혈을 겪은 대조군이나 별 차이가 없었다.
앞으로 더욱 확실한 임상시험 결과가 나올 때까지는 암 환자들에게 이러한 관찰연구 결과들이 있다는 것을 알려주고 아스피린 복용은 스스로의 판단에 맡기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엘우드 박사는 강조했다.
이 연구결과는 온라인 과학전문지 '공공과학도서관-의학'(PLoS One - Medicine) 최신호(9월 26일 자)에 발표됐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