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나나 망고 키위 귤, 냉장고보다 상온에 보관
명절이 끝나고 난 뒤 주부들에게 있어 큰 골칫거리 중 하나는 '남은 음식'이다. 이럴 때 식재료 특성과 종류에 맞춰 보관용기를 활용하면 깔끔한 정리는 기본이고 버려지는 음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명절 남은 음식 보관법에 대해 소개한다.
◆'전', 기름기 빠지는 전용 보관용기에
각종 전은 명절 대표 음식이다. 노릇노릇 구워진 전은 고소한 맛이 일품이지만 기름기가 많아 보관이 어렵다. 남은 전을 모아 비닐봉지나 보관용기에 담아 보관하는 게 일반적인 방식이다. 다만 이렇게 할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음식이 머금고 있던 기름이 흘러나와 눅눅해지고 특유의 기름 냄새가 난다.
특히 기름기가 많은 전이나 튀김은 공기 중 산패 속도가 급격히 빨라진다. 남은 전 등은 랩으로 한 번 싼 다음, 공기를 뺀 진공팩이나 밀폐용기에 종류별로 구분해서 섞이지 않게 담아둔다. 용기에도 기름기가 스며들 수 있으므로 플라스틱보다는 유리 용기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 금세 먹을 것이라고 냉장 보관을 하게 되면 수분이 빠르게 날아가 뻣뻣하고 맛이 없어지므로 냉동 보관하는 것이 좋다.
◆육류는 나눠 냉동 보관
육류는 단기간에 먹을 수 있는 양은 냉장실에,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한번에 먹을 수 있을 만큼 용기에 담아 냉동실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 냉동실에서도 식중독균이 번식할 수 있기 때문에 오래 보관해서는 안 된다. 해동 과정에서 세균에 오염될 가능성도 있는 만큼 주의해야 한다.
실내에 고기를 둘 경우 한 시간 정도 지나면 식중독균이 증식하므로 상온해동은 삼가야 한다. 전자레인지를 이용해 해동하거나 찬물에 넣어 해동하는 것은 세균 증식을 막을 수는 있지만 맛이 떨어지는 원인이 된다. 가장 좋은 방법은 시간이 걸리더라도 먹기 전날 냉장고로 옮겨 저온에서 서서히 해동하는 것으로 육질을 보호해 맛을 유지할 수 있다.
◆과일은 씻지 않고 신문지에 둘둘
대표적 후숙 과일인 바나나, 망고, 키위, 토마토, 감, 귤, 무화과 등은 냉장고보다 발코니 같은 상온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 감이나 배는 물에 씻지 않고 하나씩 신문지에 싸 냉장 보관하는 것이 좋다. 냉장고 바닥에도 신문지를 깔아 습기를 제거해주면 더 오래 보관할 수 있다. 신문지가 습기를 흡수해 과일이 익는 것을 늦춰주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다만 사과는 싹을 돋아나게 하고, 열매를 익게 만드는 에틸렌가스를 내뿜기 때문에 다른 과일과는 따로 보관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