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첫 방북, 4·27, 5·26 후 세번째 만남, 비핵화 종전선언 남북경협 등 '평화 방안' 논의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오전 10시 평양땅을 밟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서해 하늘길을 통해 평양을 찾아 사흘간 머물며 김 위원장과 정상회담을 한다.4·27, 5·26 판문점 남북정상회담 후 넉 달 만에 성사된 세 번째 만남이자, 문 대통령의 취임 후 첫 방북이기도 하다.
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은 2박 3일 동안 비핵화와 종전선언, 남북경협에 이르기까지 큰 틀에서의 한반도 평화구축 방안들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앞선 두번의 만남이 탐색전이라면 이번 만남에서는 구체적인 액션을 도출해야 한다는 것이 국내는 물론 국제사회의 요구다.

이번 정상회담이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이 교착 상태를 벗어나 탄력을 받을 수 있도록 견인해야 하는 만큼 북한의 '심장부'인 평양에서 두 정상이 어떤 대화를 나눌지에 한반도 주변국을 비롯한 전 세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문 대통령은 17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제가 얻고자 하는 것은 국제정세가 어떻게 되던 흔들리지 않는 그야말로 불가역적이고 항구적인 평화다"며 방북 각오를 밝혔다. 문 대통령은 평양 방문에서 집중적인 노력을 기울일 두 가지 현안으로 전쟁공포 해소와 함께 비핵화를 위한 북미대화 촉진을 꼽았다.
문 대통령은 "(북핵은)우리가 주도해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므로 미국의 비핵화 조치 요구와 북측의 적대관계 청산·안전보장을 위한 상응조치 요구 사이에서 어떻게 접점을 찾을지 김 위원장과 허심탄회하게 대화하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이 김 위원장으로부터 비핵화 조치에 대한 구체적 실행계획을 끌어내고, 미국이 종전선언의 조건으로 요구해온 핵 신고 약속을 받아낸다면 우리 정부로서는 최상의 시나리오다.
남북 전문가들은 비핵화 속도를 비롯해 제2차 북미정상회담과 연내 종전선언의 성사 여부, 남북 간 군사적 긴장 완화 조치 등의 향배가 이번 회담에 달려 있다고 보고 있다.
이승근 계명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이번 회담은 북한의 비핵화 의지와 검증 수준을 확인할 수 있는 시금석이자 입장을 명확하게 알 수 있는 중요한 변곡점이다. 그러나 추상적이고 선언적인 약속만 받아온다면 북핵 해법은 큰 난관에 부닥칠 것 "이라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