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중재역량 시험대 올라

입력 2018-09-16 18:23:42 수정 2018-09-16 19:34:16

이번 제3차 남북정상회담에서 2차 북미회담 실마리 마련할 수 있을까?

문재인 대통령의 북핵 중재역량이 다시 한번 시험대에 오른다. 18일부터 시작되는 제3차 남북정상회담의 최대과제가 교착상태에 빠진 북미 간 회담의 돌파구를 마련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6·12 북미정상회담 이후 급물살을 타는 듯했던 북미 간 대화는 교착 상태에 빠졌다가 최근 조금씩 관계 개선의 조짐이 감지되는 민감한 시점인 만큼 문 대통령의 이번 평양 방문으로 협상에 물꼬가 트일 수 있을지에 국제사회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문 대통령으로서도 이번 남북정상회담이 향후 2차 북미 정상회담과 종전선언 등으로 이어지는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첫 단추가 되는 만큼 어느 때보다 '촉진자' 역할을 수행하는 데 심혈을 기울일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의 최우선 목표는 북미 정상회담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일이다.

당면과제는 비핵화 조치의 선행 조건으로서 종전선언을 요구해 온 북한과 최소한 핵 리스트 신고 등의 실질적 조치가 먼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하는 미국, 양측의 간극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좁히느냐다.

여기에서 어느 정도 납득할만한 진전이 있어야만 2차 북미회담의 성공을 바라볼 수 있다.

문 대통령 역시 이런 상황을 인식한 듯 13일 열린 남북정상회담 준비위원회 원로 자문단과의 오찬 간담회에서 '북미 간 견해차 좁히기'를 이번 회담의 목표로 꼽았다.

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북한에 추가적인 (비핵화) 조치를 요구하려면 미국이 상응하는 조치를 해야 한다는 게 현재 북미교착의 원인"이라면서 이를 풀기 위한 나름의 해법을 제시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북한이 한 걸음 더 나아가야 할 일은 미래 핵뿐만 아니라 현재 보유한 핵물질, 핵시설, 핵 프로그램 등을 포기하는 것"이라며 북한의 '현재 핵' 포기와 미국의 '상응 조처'가 동시에 이뤄져야 한다는 점을 시사했다.

이번 평양 방문에서 문 대통령은 이런 기본 방향 아래 보다 구체적인 중재안을 제시할 것으로 보이며, 김 위원장과 논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이달 말 유엔 총회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최대한 절충점을 찾으려 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를 통해 북미 간 견해차를 좁히고, 나아가 미국의 11월 중간선거 이전에 2차 북미 정상회담이 개최된다면 문 대통령의 1차 목표인 연내 종전선언의 가능성이 한층 커질 것으로 보인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