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연호지구 전략환경영향평가 주민공청회 재개최

입력 2018-09-14 18:47:29 수정 2018-09-14 19:27:13

주민들 ‘졸속 평가’ 대거 반발…용역업체 수의계약 문제 제기하기도

14일 대구 수성구청에서 열린
14일 대구 수성구청에서 열린 '대구 연호 공공주택지구 전략환경영향평가서 공청회'에서 주민과 사업자들이 토론을 하고 있다.

대구 연호공공주택지구(이하 연호지구)를 개발하고자 국토교통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진행 한 전략환경영향평가를 두고 주민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환경영향평가가 졸속으로 진행됐고, 용역업체 선정 과정에도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국토교통부와 LH는 14일 수성구청에서 연호지구 내 토지 소유자들을 대상으로 전략환경영향평가 공청회를 열었다. 지난달 24일 첫 공청회가 무산된 이후 2주만이다.

이날 공청회에서 주민들은 전략환경영향평가가 졸속으로 이뤄졌다는 지적을 잇따라 내놨다. 평가 시행업체가 1, 2차 조사를 각각 이틀간 진행했다고 언급하자 일부 주민들은 "이틀만에 89만여㎡ 터를 모두 조사한다는게 말이 되느냐"며 언성을 높이기도 했다.

최수곤 칼치마을제척위원장은 "칼치마을은 법정 보호종인 황조롱이와 진달래군락지 등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지역으로 개발될 경우 환경 파괴 위험이 크다"면서 "칼치마을 지역을 지구 지정에서 제외해달라"고 요구했다.

이춘원 연호이천대책위원회 총무도 "환경영향평가에 포함되지 않은 동식물 등이 많은데도 한 계절만 조사한 내용만으로 대구에 얼마 남지않은 생태보전지역을 무너뜨릴 수 없다"고 주장했다.

또한 일부에서는 LH가 용역비 8천만원이 넘는 사업을 공개입찰이 아닌 수의계약으로 진행한 것에 의문을 제기했다. 원하는 환경영향평가 결과를 얻으려고 특정업체에 수의계약 형태로 용역을 맡긴 것이 아니냐는 것이다.

이에 대해 LH는 기밀 유지를 위해 수의계약으로 진행할 수밖에 없었다는 입장이다.

LH 관계자는 "오늘 수렴한 의견을 토대로 추가 조사를 한 뒤 환경부에 제출할 계획"이라며 "중앙도시계획위원회를 거쳐 올 연말쯤 지구 외곽 경계가 결정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