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장마가 길었다. 오랜만에 키 큰 나무들 아래 길을 쓸었다. 산중의 시간은 해와 달, 자연의 시간이다. 계곡 물소리와 나무들, 숲에서 새들이 먼저 새벽을 알린다.
도시에서는 빌딩과 자동차 그리고 속도의 시간이다. 여기서는 시간이 느리게 흐르고 거기서는 빠르고 숨 가쁘게 진행되어진다. 괴테가 가을 숲을 걷다가 '보아라, 이 지상의 것이 아닌 위대함이 저기 있지 않느냐?'가 떠오른다.
우리가 외우는 '주여, 때가 왔습니다'로 시작하는 릴케의 가을은 시간의 그림자가 들판의 열매들을 살찌게 하며 포도송이에 단맛이 들게 한다고 기도한다. 자연의 신호와 소리들은 어떤 경전과도 비교 되지 않는다.
금년 여름 초유의 혹서와 가뭄은 아마도 벌레들도 발버둥 쳤을 것이다. 가을비가 흡족하게 내리고 공기까지 맑으니 이 무슨 청복이요 선물인가 잃어버린 시간을 되찾은 듯 손상 된 삶에 불이 켜지며 점화 된 기분이다. 자연의 신호와 소리는 사람의 생각과 언어를 압도하는 질서가 있다. 지구의 여러 곳에서 일어나는 자연재난은 앞으로 일어날 더 큰 지구의 운명을 예고하고 있는 것이다.
힌두교 경전인 '우파니샤드'에 옛날 구루(Guru)가 제자에게 법을 전할 때 그 제자의 귀에 대고 마치 숨을 불어 넣듯이 속삭였다. 아마도 그 스승은 제자의 귀에 속삭였다고 하지만, 무슨 말을 속삭인게 아니라 그냥 숨을 불어 넣었을 뿐이었다. 진리란 아마 큰소리로 말하면 사라지거나 깨졌을 것이다. 이미 말씀이란 그 이전에 그 참됨이 깃들어 있기 때문이다.
시간의 숨결이 없는 말은 공허하고 쓸쓸하다. 자연의 소리와 신호는 언제나 둥근 소리이다. 누구나 알아듣고 접속 할 수 있어야 한다.
화엄경에서 '해인삼매'를 말 할 때, 물결이 잔잔해진 바다에 삼라만상이 비추듯 너와 나도 비추면 서로가 비추게 된다. 서로가 서로 속에 감싸고, 세계가 세계 속에 포함된다. 누구나 똑같이 꾀꼬리 소리가 얼마나 반가운지 소리나는 쪽을 쳐다보고, 너와 내가 또 쳐다보며, 눈을 마주치면 미소 짓는 것이다.
물체의 속도가 빛의 속도에 근접 할수록 시간은 느려진다. 물체의 속도가 빛의 속도와 같아지면 시간은 정지한다. 시간의 흐름을 전혀 느끼지 못하는 상태에 있을 때 마음의 '무시간성'(akalika)이라고 한다. 그럴 때 몸은 빛 속으로 해체되어서 스스로 빛나게 되며 참다운 빛이 되는 것이다. 모든 외로움은 시간 속에서 일어나고 한때라도 시간에서 벗어나려면 스스로 빛이 되어야 한다. 아니면 별 수 없이 시간을 끌어안고 고민 속에서 뒹굴며 '무시간성'은 수행자들의 몫이라고 핑계 삼는 것이다. 시간은 느낀대로 존재하고 생각한대로 정해진다. 각자의 목숨도 그렇게 인과가 만들어진다. 이미 빛이 된 많은 사람들은 한결같이 시간의 '무시간성'을 이루고 별이 되었다.
20세기 시인 중 라이너마리아 릴케도 우리에게 많은 행운과 영감을 주었다. 그중에 붓다를 기리는 세편의 시를 남겼다.
'빛 속의 붓다'를 읊어본다.
모든 중심들의 중심, 속 중의 속, 알몬드, 스스로에 둘러싸여 향미(香味) 깊어지는―
이 만물, 더 먼 별들 그리고 그 너머까지 모두가 당신의 살, 당신의 과일입니다.
이제 당신은 느끼십니다. 그 어떤 것도 당신한테 매여 있지 않음을 당신의 광활한 외피(外皮)는 끝없는 공간에 닿아 있고 거기 진한 즙이 솟아나와 흐릅니다.
당신의 무한 평화로 빛을 얻어, 수없는 별들 밤새 회전하며 당신 머리 위 높이 타는 듯 빛납니다. 그러나 당신 속에 앞으로 있을 것이 이미 있습니다, 모든 별들이 죽을 때에도.
각정 스님(청련암 암주)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