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입전형 자기소개서 표절로 작년 1400여명 불합격 처리

입력 2018-09-12 17:33:59

매년 1천명 이상 적발, 증가 추세…교사 추천서 표절도 많아

대학 입시에서 자기소개서 표절 사실이 적발돼 불합격 처리된 사례가 해마다 1천 명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김해영(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8학년도 대입 전형에서 자기소개서 표절로 불합격 처리된 사례는 1천406명에 달했다.

대학들은 대교협이 만든 '유사도 검색 시스템'을 활용해 수험생의 자소서와 다른 글의 유사도가 5% 미만이면 A, 5~30%는 B, 30% 이상이면 C 수준으로 각각 분류한다. 이어 전화조사, 현장실사, 심층면접 등을 통해 표절 여부를 가린다.

유사도 분석 결과 자소서 표절로 인한 불합격자 수가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2015년에 109개교 42만8천77명의 지원자 가운데 1천364명이 B 수준 이상으로 분류됐고, 이 중 1천261명이 불합격 처리됐다. 2016년에는 122개교 47만64명의 지원자 중 1천502명이 B 수준 이상으로 분류됐고, 1천390명이 탈락했다. 지난해에는 130개교 54만8천473명의 지원자 중 B 수준 이상이 1천537명으로, 1천406명이 불합격했다.

한편 교사추천서 표절 의심 사례도 끊이지 않았다. 유사도 검색 시스템을 통해 적발된 교사추천서 표절 유의·의심·위험 사례는 2014년 16만5천107명에서 2017년 17만3천282명으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시스템 활용 대학이 48개교에서 36개교로 줄어든 것을 고려할 때 높은 증가세다.

김 의원은 "자기소개서 표절로 인한 대학 불합격자 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은 학생부종합전형의 취지와 신뢰성을 잃고 있음을 방증하는 것"이라고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