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호르몬 변화와 육아·가사·직장 스트레스가 원인"
인구 10만명당 1천336명이 우울증…노인층 환자 비율 높아
지난해 국내 여성 우울증 환자는 45만명으로 남성보다 2배 이상 많았다. 또 우울증은 노년층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어 노인우울증에 대한 사회적 대비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우울증 진료 환자는 2012년 58만8천명에서 2017년 68만1천명으로 지난 5년간 15.8% 증가했다.
남성은 2012년 18만2천명에서 2017년 22만6천명으로 24.0% 늘었고, 여성은 2012년 40만6천명에서 2017년 45만5천명으로 12.1% 증가했다.
남성 환자 증가 폭이 크지만 지난 5년간 여성 환자는 남성의 2.1배로 많았다.
박재섭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여성 환자가 많은 이유에 대해 "여성은 월경, 출산, 폐경 등으로 인해 호르몬 변화가 커질 때 감정의 흔들림을 경험할 가능성이 커진다"면서 "특히 중년기 여성들이 폐경 전후에 겪게 되는 호르몬 변화가 우울증과 관련이 크다"고 말했다.
인구 10만명당 진료 인원도 2014년 1천163명, 2015년 1천197명, 2016년 1천267명, 2017년 1천336명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
지난해 인구 10만명당 환자를 연령별·성별로 보면 70대 여성이 4천303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 60대 여성 3천35명, 70대 이상 남성 2천670명, 50대 여성 1천955명 순으로 노인 환자가 많았다.
박 교수는 "경제력 상실, 신체기능 저하, 각종 내외과적 질환, 사별과 같은 생활사건 등이 노인 우울증의 원인"이라며 "가족 제도 변화에 따른 독거노인의 증가, 가족 갈등의 증가, 노인에 대한 부정적인 고정관념이나 편견이 늘어나는 사회 분위기도 영향을 주고 있다"고 분석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