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달빛내륙철도 건설, 더는 미룰 명분도 시간도 없다

입력 2018-09-04 05:00:00

달빛내륙철도 조기 건설을 위한 영호남 지방자치단체와 정치권의 공감대가 커지고 있다. 3일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국회포럼에서 참석자들은 영호남의 활발한 인적·물적 교류와 남부경제권 형성 등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해 대구와 광주를 잇는 달빛내륙철도가 반드시 성사되어야 한다며 정부에 조기 착공을 거듭 촉구했다. 무엇보다 문재인 대통령의 영호남 상생 공약이라는 점에서 늦어도 내년에는 첫 삽을 뜰 수 있도록 이제는 정부가 관심을 보여야 한다는 것이다.

달빛내륙철도의 중요한 기능과 역할에 비춰볼 때 국책사업으로서의 당위성과 조기 착공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사통팔달의 수도권과 달리 오랫동안 소외되어 온 남부 내륙지역의 발전과 영호남 상생을 위해서라도 두 지역을 빠르게 잇는 고속화철도 건설은 시급한 현안 과제이어서다. 그런데도 정부의 경제성 논리에 막혀 계속 우선순위에서 밀리거나 정치권의 관심에서 멀어지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2019년부터 2030년까지로 계획된 달빛내륙철도 건설은 영호남 교류를 진작하고 경제 활성화에 큰 보탬이 될 수 있다. 광주와 대구 등 철도 노선이 지나는 영호남 10개 지자체가 사업 성사를 위해 추진협의회 발족, 지방정부 공동선언, 사업 타당성 용역 발주 등 적극 행동에 나선 이유다. 지역 경쟁력 강화와 국토 균형 발전을 위해서라도 이제는 정부가 지역민의 기대에 화답해야 할 때다.

물론 6조원 예산의 대형 국책사업인 만큼 정부의 비용 부담이 없을 수는 없다. 하지만 사업의 중요성과 영호남 두 지역에 미칠 경제 효과 등을 고려한다면 계속 모른 체하거나 미뤄두는 것은 곤란하다. 내년도 예산안을 다루는 9월 정기국회에서 각 지역 국회의원들도 정당의 이해를 떠나 관련 사업비가 최대한 반영되도록 힘을 보태야 한다. 착공이 늦어지면 늦어질수록 지역 경쟁력 또한 뒤처진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