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중앙시장 특성화시장 육성사업 선정으로 도약

입력 2018-07-30 11:32:43 수정 2018-07-30 15:40:46

경주 중앙시장은 경북지역에서 변화하는 전통시장의 대표적인 사례 중 한 곳이다. 지난 2016년 문을 연 중앙시장 야시장의 모습. 경북도 제공
경주 중앙시장은 경북지역에서 변화하는 전통시장의 대표적인 사례 중 한 곳이다. 지난 2016년 문을 연 중앙시장 야시장의 모습. 경북도 제공

천년고도 경주에서 100여 년의 전통을 자랑하는 경주 중앙시장은 경북지역에서 변화하는 전통시장의 대표적인 사례 중 한 곳이다.

지난 2005년부터 정부의 전통시장 시설현대화 사업을 통해 아케이드 등 환경개선을 시행했고 소방과 가스, 전기 등 기반시설도 개선했다. 또 경주를 찾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관광버스 투어, 고객 편의를 위한 택배사업 마케팅이 눈길을 끌고 있으며 소머리 곰탕과 토종한우, 활어회는 시장 활성화의 견인차 구실을 하고 있다.

특히 중앙시장이 한 단계 도약할 수 있었던 것은 2016년 당시 행정자치부가 침체한 전통시장과 지역상권 활성화를 위해 추진한 야시장 조성 사업에 선정된 것이 계기가 됐다.

중앙시장 내 공연무대 앞으로 75m가량의 아케이드 통로를 활용, 한옥형 판매대 20개가 설치됐다. 고객이 편히 많아 먹을 수 있는 좌판도 10개나 마련됐다. 2층 빈 점포는 새로 단장해 조리실과 자치회 운영 공간으로 꾸며졌다.

야시장은 수제순대와 닭불고기'꼬치'쌀국수 등 다양한 먹을거리로 고객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다.

공설시장으로 운영되다 1983년 700여 개 점포로 구성된 사설시장으로 신축된 중앙시장은 하루(장날) 3천여 명이 찾는 경주 최대의 중심시장이다. 2015년 9월 추석 명절의 화재로 큰 피해를 입었지만, 한 달여 만에 완전히 복구했고 이듬해에는 야시장도 개장,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저력을 발휘했다.

이런 경주 중앙시장에는 이달 초 또다시 좋은 소식이 날아들었다. 올해 중소벤처기업부 전통시장 특성화 시장 육성사업 가운데 '희망사업 프로젝트'(문화관광형) 공모에 선정된 것이다.

이에 경주시와 경주 중앙시장은 2020년 2월까지 국비 등 8억 6천만원을 투입해 신라를 상징하는 상인 유니폼과 포장지, 용기를 제작하고, 게스트하우스와 펜션 등과 연계한 테마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 특성화 사업에 나선다.

정동식 경주 중앙시장 상인회장은 "전문가 컨설팅과 시장상인기획단 의견을 수렴해 이번 사업을 기획했다"며 "앞으로 지역 축제와 연계한 특화 축제를 만들어 문화 관광형 시장 이미지 구축에 힘쓰겠다"고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