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용 수리시설은 농작물의 생육에 필수적인 농업용수 공급과 배수처리를 위한 시설을 말한다. 서기 33년 백제에서 처음으로 도작(稻作:벼농사)을 했다는 기록을 시작으로 삼한시대에 김제 벽골제, 밀양 수산제, 상주 공검지, 제천 의림지 등이 축조됐다.
특히 상주 공검지는 제방길이 430m, 못의 둘레 8,680m, 수심 5.6m, 여수토 1개소를 구비해 관개면적이 265ha에 달했다. 15세기경에 편찬된 '경상도속찬지리지(慶尙道續撰地理誌)'에 나오는 일반 저수지의 관개면적이 평균 25ha임을 감안할 때 공검지는 영남 제일의 규모였던 것으로 보인다.
고려시대에는 제방 등의 수리시설이 설치돼 간척개발의 시초가 됐던 간척제방이 조성됐다.
조선시대에도 권농정책의 추진으로 '농사직설(農事直說)' 편찬 등 농사기술의 보급과 낙동강 등 제방축조와 도랑을 만들었다. 더불어 하천수를 농업용수로 이용하는 수리시설을 설치했다. 하지만 왜란과 호란의 영향으로 많은 수리시설이 폐허가 되는 수난을 겪었다.
근대에 들어서는 1908년 수리조합이 설립되면서 일제 강점기까지 335천ha의 논이 관개개선 됐다.
광복 이후 1960년대 중반까지의 생산기반정비는 주로 논의 관개·배수개선(농업용수 개발)에 중점을 두고 이뤄졌다. 당시 우리나라의 영농환경은 경지가 너무 많은 필지로 분산돼 있는 데다 불규칙한 용·배수로로 인해 토지 생산성이나 노동 생산성이 극히 낮은 수준을 면치 못했다. 이에 따라 전통적인 영세경종농업을 지속하고 있었다.
1949년 '농지개혁법'에 의해 자경 농지를 얻게 되면서 기반시설에 대한 요구가 폭발적으로 일어났다. 1957년에는 처음으로 정부예산에 의한 개간이 시작됐다.
경북도는 1964년 전국 최초 자체사업으로 경지정리사업을 시작했다. 이를 계기로 이듬해부터 전국적으로 정부예산에 의한 경지정리사업이 확대됐다.
2004년까지 일반경지정리 대상면적 11만4천167ha 중 10만1천488ha(88.9%)를 완료했으며 2005년부터는 일반경지정리사업을 중단하고 농지규모화, 대형기계화 영농에 알맞도록 일반경지정리사업이 완료된 집단화된 농지를 중심으로 크게 재정비하는 대 구획경지정리사업으로 전환했다.
댓글 많은 뉴스
민주당 대선 후보 이재명 확정…TK 출신 6번째 대통령 되나
김재섭, 전장연 방지법 발의…"민주당도 동의해야"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이재명 "함께 사는 세상 만들 것"…이승만·박정희 등 묘역참배
文 "이재명, 큰 박수로 축하…김경수엔 위로 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