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취수원 이전]수량·수질·재산권 침해 진실인가? 팩트체크, 사실이면 다른 대안은 없나?

입력 2018-07-25 21:00:00

구미 공동사용에 따른 문제 많아... 대구 국토부 용역결과서 문제 없다 나와...

2017년 6월 19일 낙동강 강정고령보 상류 물을 끌어오는 매곡취수장 주변에 조류 유입 차단을 최소화 하기 위해 오일펜스가 설치돼 있다. 최근 강정고령보에서 발생한 남조류 수는 1ml당 최대 4만개로,
2017년 6월 19일 낙동강 강정고령보 상류 물을 끌어오는 매곡취수장 주변에 조류 유입 차단을 최소화 하기 위해 오일펜스가 설치돼 있다. 최근 강정고령보에서 발생한 남조류 수는 1ml당 최대 4만개로, '경계' 수준을 4배 가량 넘어선 수준이다. 매일신문 DB

지난 2009년부터 시작된 대구취수원 이전 논의 지금껏 한 발짝도 나서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대구시와 구미시가 팽팽하게 맞서는 쟁점사항 때문이다.

세 가지로 요약되는 이 쟁점들은 대구시가 대구취수원을 구미산단 상류에 위치한 해평취수장으로의 이전을 추진하면서 불거진 것이다.

우선 해평취수장 공동 사용에 따른 주민재산권 침해 문제가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구미시는 대구시가 해평취수원을 공동 사용할 경우 300만여 명의 식수원으로 확대됨에 따라 환경오염 기준강화 및 각종 개발제한 확대 등의 재산권이 침해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2017년 9월 28일 대구 달성군 매곡취수장에서 매곡정수사업소 연구원들이 대구시민들의 식수원인 낙동강 물의 수질검사를 위해 원수를 채취하고 있다. 매일신문 DB

구미시 관계자는 "현재 50만여 명의 식수원인 구미 해평취수장이 대구시 250만여 명을 추가하면 300만여 명의 취수원으로 변한다. 이에 따른 주민들의 정신적, 재산적 피해는 심각해진다"고 했다.

이에 대해 대구시는 "현재 해평취수장의 하루 처리량은 46만4천㎥이며, 보조취수장(45만㎥/일)까지 합하면 이곳에서 하루 91만4천㎥을 취수할 수 있다. 아울러 인근 구미광역취수장(40만㎥/일)까지 가세할 경우 대구지역 취수 용량의 70%(67만7천㎥/일)와 구미 취수 용량 50만㎥/일을 거뜬하게 소화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또한 낙동강 유량 감소에 따른 구미산단 공업용수 부족 및 수질 악화 문제도 구미시가 내세우는 반대 이유다.

이에 대해 대구시는 지난 2014년 발표한 국토교통부의 연구용역 결과를 토대로 반박하고 있다. 당시 국토부는 '대구'경북권 맑은 물 공급 종합계획 검토보고서'를 통해 대구권의 취수원을 구미산단 상류로 이전해도 물 부족이 발생하지 않고, 취수원 이전으로 인한 수질 영향도 거의 없다고 밝혔다.

국토부와 한국수자원공사가 작성한 이 보고서에 따르면 대구지역 취수 용량의 70%에 해당하는 67.7만㎥(하루 취수량)를 구미 상류에서 취수해도 구미 지역에 물 부족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2017년 9월 28일 대구 달성군 매곡취수장에서 매곡정수사업소 연구원들이 대구시민들의 식수원인 낙동강 물의 수질검사를 위해 원수를 채취하고 있다. 매일신문 DB

민경석 경북대 환경공학과 명예교수는 "당시 국토부 연구용역 결과에서도 취수원 이전에 따른 용수 부족과 수질 문제는 없는 것으로 나왔다. 최근 구미와 대구의 공동건의문에 대한 국무조정실의 회신에서도 이 문제에 대한 영향은 거의 미미해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내용이 양 시에 통보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무조정실은 추가 검토를 위한 용역을 정부 자체적으로 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구미와 대구가 응한다면 과학적 검증을 통해 취수원이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