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를 방문 중이던 문재인 대통령이 13일 “(북미 정상이) 직접 한 약속을 지키지 않으면 국제사회로부터 엄중한 심판을 받게 될 것”이라고 했다. 북미 정상회담 이후 한 달이 지났으나 비핵화 진전이 없는 현 상황에 대한 답답함의 토로다. 그 심경 충분히 이해하지만, 상황 판단에 문제가 있다. 북미 모두 약속을 지키지 않는 것이 아니라 북한이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다. 그런 점에서 문 대통령의 발언은 공감할 수 없다.
북한이 비핵화에 뜻이 없음은 곳곳에서 확인된다. 북미 후속 실무회담은 아무 성과 없이 끝났다. 회담 뒤 북한이 미국의 CVID 요구를 ‘강도적’이라고 비난한 것은 이를 분명히 확인해준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공개한 김정은의 친서에도 ‘비핵화’ 표현은 한 글자도 없다. 그러면서 2차 북미 정상회담 조기 개최 의사를 밝혔다. 이는 북한의 노골적인 비핵화 지연작전이다.
문 대통령은 비핵화 진전이 없는 이유가 북한의 종전선언 요구를 미국이 거부하는 데 있다고 보는 듯하다. 지난 12일 싱가포르 방문 전 현지 신문과 인터뷰에서 ‘연내 종전선언’을 강조한 것은 그 방증이다. 그러나 종전선언은 합의 이후에는 물리기 어려운 불가역적 조치에 가깝다. 비핵화가 되지도 않았는데 북한이 요구한다고 들어줄 수 있는 게 아니라는 것이다.
문제의 본질을 알아야 해결 방안도 나온다. 문 대통령은 비핵화에 진전이 없는 작금의 상황이 누구에게 책임이 있는지 분명히 알아야 한다. 미국과 북한을 한데 묶어 나무라는 것은 문제 해결에 전혀 도움이 안 된다. 비핵화하기도 전에 얻어낼 것은 다 얻어내겠다는 김정은의 속셈에 힘만 실어줄 뿐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