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대구공항 청사진, 대구경북의 미래] <2>밀라노 공항들, 소음과의 전쟁

입력 2018-07-12 05:00:00

LCC 허브 이점 이용해 물류허브 확보 전략

이탈리아 밀라노 지역 베르가모 공항과 말펜사 공항은 소음 저감과 접근성 향상 등 주민 상생에 앞장서는 모습이다. 지난 5월 4일(현지시각) 이탈리아 베르가모 공항 운영회사인 SACBO의 에밀리오 벨링가디 이사장이 소음 저감 정책을 설명하고 있다. 홍준헌 기자
이탈리아 밀라노 지역 베르가모 공항과 말펜사 공항은 소음 저감과 접근성 향상 등 주민 상생에 앞장서는 모습이다. 지난 5월 4일(현지시각) 이탈리아 베르가모 공항 운영회사인 SACBO의 에밀리오 벨링가디 이사장이 소음 저감 정책을 설명하고 있다. 홍준헌 기자

이탈리아 밀라노 지역 공항들은 노선 이전에 따른 접근성 향상과 주민 소음피해 저감 등 지역과의 상생에도 힘쓰고 있었다.

말펜사, 리나테 공항을 운영하는 SEA(Societa Esercizi Aeroportuali SpA)는 리나테 공항이 국내선 위주로, 말펜사 공항이 중장거리를 담당하는 중심공항으로 점차 재편되자 '말펜사 2000 계획'에 따라 말펜사 공항 투자를 늘렸다. 리나테 공항을 이용하던 밀라노 시민들이 공항 노선 이전에 따른 불편을 겪지 않도록 밀라노 중앙역에서 공항 터미널에 이르는 철도 노선을 확장하고 하루 150편의 열차를 운행하는 것이다.

SEA는 또 시간대(오전, 오후)마다 2개 활주로를 번갈아 사용해 인근 지역 주민 6만 명이 늘 똑같은 이륙 소음 피해를 겪지 않도록 하고 있다. 오늘 오전 6시부터 오후 2시 30분까지는 남쪽 활주로를, 오후 2시 30분부터 자정까지는 북쪽 활주로를 이륙용으로 쓴다. 다음날에는 반대로 오전 북쪽 활주로를 먼저 쓰는 식이다.

마르셀라 스쿠치마라 SEA 환경·공항안전 매니저는 "항공기 간 이륙 동선 폭을 최소한으로 좁혀 피해 지역을 최소화하고, 홈페이지에 소음공해 측정치를 수시로 게시해 인근 주민 6만여 명에게 공개하고 있다"고 했다.

베르가모 공항 측은 2008년과 2015년, 2017년 총 1억 유로를 투자해 인근 주택 400가구와 10개 학교에 소음저감 시설을 설치했다. 신규 항공기를 도입하는 항공사에는 저소음 신기술이 적용된 기종을 요구하고 있다.

베르가모 공항 운영회사인 SACBO의 에밀리오 벨링가디 이사장은 "소음, 환경 문제는 인근 주민과의 상생을 위해 반드시 의식해야 할 과제다. 이륙 소음을 잡아야만 시민 편의라는 공항의 공적 기능을 완성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