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없던 남북 소통...격의 없이 자주 만나나

입력 2018-05-27 17:24:55

문재인 대통령은 27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김 위원장과의 정상회담에 대해 "친구 간의 평범한 일상처럼 이뤄진 이번 회담에 매우 큰 의미를 부여하고 싶다. 남북은 이렇게 만나야 한다는 것이 제 생각"이라고 언급, 향후 남북 소통 채널이 시기와 형식에 구애 없이 적극 개방될 것임을 예고하고 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 역시 이날 출입기자들에게 "남북 정상이 필요하면 다양한 방식의 소통을 이어가고 격의 없는 실무적 성격의 회담을 하자고 합의한 것이 유례없는 좋은 진전이라고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정은 위원장도 26일 진행된 남북 정상회담에서 문 대통령에게 "가을에 평양에 한 번 오시면…(남북 정상회담은) 다시 한 번 대화합하고 더 가까워지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고 얘기하며 문 대통령과의 수시 소통 의지를 피력했다.

또한 지난달 남북정상회담에서 협의가 이뤄졌듯이 올 가을 문 대통령의 평양 방문도 현실화할 것으로 보인다.

북한 조선중앙TV가 26일 이뤄진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두 번째 정상회담 영상을 27일 오전 공개했다. 영상에서 문 대통령이 김 위원장과 정상회담을 갖는 가운데 배석한 서훈 국가정보원장이 뭔가 적는 모습. 연합뉴스
북한 조선중앙TV가 26일 이뤄진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두 번째 정상회담 영상을 27일 오전 공개했다. 영상에서 문 대통령이 김 위원장과 정상회담을 갖는 가운데 배석한 서훈 국가정보원장이 뭔가 적는 모습. 연합뉴스

문재인 정부 들어 두 번째 남북 정상회담이 이뤄진 것 역시 '남북 소통 다채널' 덕분이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27일 "여러 남북관계 소통 경로 중 하나가 서훈 국가정보원장과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간 경로"라면서 "최근 북미회담 준비 과정과 남북관계를 앞으로 어떻게 더 발전시켜나가야 하는지 등에 관한 협의가 그제 있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그 과정에서 북측에서 김 위 원장의 구상과 함께 격의 없는 소통 방안을 제시했고 관련 장관들과의 협의를 거쳐 대통령께 건의해 승낙을 받고 그제 밤부터 어제 오전까지 실무 준비를 마친 뒤 정상회담을 했다"고 설명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