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가계대출 잔액 39조8,779억

입력 2017-10-27 00:05:01

대구의 가계대출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비은행금융기관의 대출 비율이 높아 시민들이 가계 부실 위험에 노출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추경호 자유한국당 의원이 한국은행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예금은행기관과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대구지역 가계대출 잔액은 올 7월 말 현재 총 39조8천779억원에 달했다. 이 가운데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총 잔액의 65%인 26조194억원이었고,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은 13조8천586억원이었다.

특히 지난 2011년부터 2016년까지 5년간 가계대출 잔액은 17조1천953억원 증가하면서 전국에서 세 번째로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는 주택담보대출 증가에 따른 것으로,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의 가계대출 증가액 17조1천953억원 가운데 67.5%인 11조6천18억원이 주택담보대출인 것으로 확인됐다.

그뿐만 아니라 상호저축은행, 신용협동조합 등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기타 대출도 지난 2007년 1조8천355억원에서 지난해 6조9천336억원으로 급증하면서 타지역에 비해 대출 잔액 증가율이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더해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다중채무자 비중이 상승하면서 또 다른 리스크 요인도 잠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추 의원은 "한국은행의 금리 인상이 현실화되고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억제 정책으로 주택가격이 하락할 경우 가계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면서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기타 대출이 급증하는 것은 자칫 가계부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한국은행을 비롯한 관계기관들은 감독을 보다 철저히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