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이 박근혜 전 대통령에게 '탈당 권유' 징계를 내린 것을 두고 당내 분란이 일고 있다. 징계 결정이 내려진 직후 박 전 대통령과 함께 탈당 권유를 받은 친박 핵심 최경환 의원이 당의 결정을 "정치적 패륜 행위이고 배신행위"라고 비난한 데 이어 22일에는 최 의원과 같은 징계를 받은 서청원 의원이 "현재 당의 위기 중심에는 홍준표 대표가 있다"고 비판했다. 이와 함께 박대출'이장우'김진태'김태흠 의원 등도 각각 입장문을 통해 당의 결정에 반발했다
특히 서 의원은 홍 대표가 연루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는 '성완종 리스트' 사건을 꺼내며 "검찰 수사 과정에서 홍 대표가 나에게 협조를 요청한 일이 있다"고 했다. 홍 대표의 '도덕성'을 문제삼아 당의 결정에 정당성이 없음을 주장한 것이다. 이어 서 의원은 향후 원내외 친박계 세력을 규합해 '대표 사퇴' 투쟁에 나설 뜻도 밝혔다. 이에 대해 홍 대표는 "노욕에 노추"라며 "사리사욕에 눈이 멀어 부끄러움을 모르는 사람들의 준동에 흔들리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친박계의 반발은 예견됐던 바다. 박 전 대통령 없는 친박계는 정치적으로 무의미하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런 당내 분란이 한국당을 와해로 몰아갈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런 진흙탕 싸움이 떠나가는 민심을 더욱 떠나가도록 부추길 것이란 얘기다. 그런 상태로는 내년 지방선거에서 참패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것은 물론 나아가 당의 존립 자체가 흔들릴 수밖에 없다. 이는 한국당이 예뻐서가 아니라 어떻게든 보수세력의 궤멸은 막아야 한다는 절박한 심경에서 한국당을 지지하는 사람들에게 죄를 짓는 일이다.
하지만, 이런 위기를 수습할 정치적 권위를 가진 인물은 한국당 내에 없다. 결국 박 전 대통령이 나서야 한다. 박 전 대통령은 구속 기간이 연장된 뒤 모든 책임을 자신이 지고 가겠다고 했다. 그런 결심이라면 자신이 키워 놓은 한국당을 위해 용단을 내리지 못할 이유가 없다. 자진 탈당하라는 것이다. 아직도 박 전 대통령을 지지하는 사람들도 안타깝지만 그런 결단을 이해하고 수긍할 것이다. 이는 박 전 대통령 개인으로서도 공당의 정식 징계 절차를 밟아 강제 출당되는 첫 전직 대통령이라는 오명을 피하는 길이기도 하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