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 기록물의 세계기록유산(Memory of the World) 등재 여부를 결정하는 첫 심사를 앞두고 한국'중국'일본의 치열한 막후 외교전이 유네스코(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 무대에서 펼쳐지고 있다.
22일 유네스코와 외교가에 따르면 유네스코 국제자문위원회(IAC)는 2년에 한 번씩 여는 전체회의를 24∼27일 열어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신청한 130여 건에 대한 심사를 진행한다.
안건 중에는 한'중'일'네덜란드 등 14개국 시민사회단체들이 작년 여름 등재를 신청한 일본의 위안부 기록물 2천744건이 포함돼 있다. 이번이 등재 신청 이후 첫 심사다.
위안부 기록물 외 안건에 오른 한국의 기록유산은 조선통신사'국채보상운동'조선왕실 어감 관련 기록물 등 3건이 있으나 단연 위안부 기록물이 집중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우리 측은 IAC가 내주 회의에서 위안부 기록물을 평가한 뒤 이른 시일 내 사무총장에게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권고하는 것을 최상의 시나리오로 보고 있다.
그러나 일본 정부가 지난해 한'중'일 시민단체들이 위안부 관련 자료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신청한 뒤부터 매년 유네스코에 내는 분담금을 무기로 유네스코를 압박하고 있어 등재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일본의 분담금은 최근 탈퇴를 선언한 미국(22%)의 절반가량인 전체의 10% 수준으로, 일본 정부는 거액의 자금줄을 틀어쥔 '큰손'이다.
기술적으로는 일본이 연말까지 1년 단위로 내는 분담금을 납부하면 되지만, 일본은 10월 말인 현재까지도 여전히 분담금을 내지 않고 있다.
특히, 최근 미국이 유네스코 탈퇴를 선언한 시점에서 일본이 쥔 분담금은 유네스코가 더더욱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 되면서 일본이 더욱 유리해진 위치를 점하게 됐다는 분석도 나온다.
정부는 이번 심의에서 IAC가 위안부 기록물에 대해 '등재권고' 합의에 이르도록 최대한 설득과 홍보전을 벌인다는 계획을 세웠다.
24∼27일 IAC가 전문가 평가를 거쳐 '등재권고' 결정을 내리면 유네스코 사무총장이 유산 등재 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한국 정부는 IAC에 대한 설득 노력과 별도로 '결자해지' 차원에서 보코바 총장이 오는 11월 14일 임기 종료 전 기록유산 등재를 마무리해 달라고 설득하고 있다.
그러나 IAC의 등재권고 결정이 나오더라도 임기가 한 달도 안 남은 보코바 사무총장이 어떤 결정을 내릴지는 미지수다.
그는 특히 최근 미국과 이스라엘의 유네스코 동시 탈퇴 선언이라는 '직격탄'을 맞은 상황에서 정치적 부담이 큰 기록유산의 등재를 더욱 주저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보코바 총장이 결정을 내리지 않으면, 사안은 유네스코의 새 수장으로 선출된 프랑스 문화부 장관 출신의 오드리 아줄레 총장에게 넘어가게 된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