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국정원 직원 자녀 등 16명 특혜채용 의혹

입력 2017-10-17 10:27:24

12조8천억원의 공적자금이 투입됐던 우리은행이 지난해 신입사원 공채에서 국가정보원이나 금융감독원, 은행 주요 고객의 자녀·친인척 등 16명을 특혜 채용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지난해 일반 신입사원으로 채용된 약 150명 중 10%가량이 특혜 입사했다는 의혹이다.

심상정 정의당 의원실은 17일 우리은행 인사팀이 작성했다는 '2016년 우리은행 신입사원 공채 추천현황 및 결과' 문건을 공개했다.

이 문건에서 총 16명의 인적사항과 함께 해당 인물의 배경이 되는 관련 정보와 추천인이 적혀있다.

예컨대 한 지원자의 경우 관련 정보란에 '금융감독원 이○○ 부원장(보) 요청'이라고 쓰여 있으며 추천인에는 본부장으로 추정되는 '○○○(본)'이라 적혀있다.

또 한 지원자의 배경은 '국정원 백○○ 자녀'라고 적혀있으며 추천인에는 '○○○ 그룹장'이라 쓰여 있다.

'○○○ 홍보실장 조카', '○○○ 본부장 처조카', '전 행장 ○○○ 지인 자녀'라며 추천인에 '○○○ 전 행장'이라고 쓰인 사람도 있었다.

기관 고객 담당자의 자녀들도 이름을 올렸다.

'○○부구청장 ○○○ 자녀'라고 쓰여있는 지원자는 비고란에 '급여이체 1천160명,공금예금 1천930억'이라고 적혀 있고, '국군재정단 ○○○○ 담당자'라고 적힌 지원자의 경우 비고란에 '연금카드 3만좌, 급여이체 1만7천건'이라고 기재돼 있었다.

'○○○○ 최고재무책임자(CFO) 자녀'라는 지원자의 경우 비고란에 '여신 740억, 신규여신 500억 추진'이라고 적혀있어 기관 영업을 위해 채용 특혜를 준 것 아니냐는 의심을 낳았다.

이들 16명은 결과란에 모두 '채용'이라고 적혀 있었다.

심 의원은 "우리은행 관계자는 해당 문건이 인사팀 내부에서 작성된 것은 인정하면서도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다고 답변을 피했다"고 밝혔다.

이어 심 의원은 "이 문건을 보는 수백만 취준생들과 빽 못 써주는 부모들은 하늘이 무너져 내리는 심정일 것"이라며 "금감원 조사는 물론 철저한 조사 후에 위법사실이드러날 경우 검찰 고발해 단호하게 책임을 물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우리은행은 "해당 문건이 누가 어떤 용도로 어떤 시기에 작성됐는지는 알 수 없다"며 "우리은행은 블라인드 면접방식을 도입해 면접관은 지원자의 인적사항을 파악할 수 없으며 특혜채용은 있을 수 없다"고 해명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