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부터 지속적으로 높아지다 올해 이례적 변화…4곳은 최저 수치
2012년 보 설치 이후 올라갔던 낙동강 주변 지하수위가 올여름 보 개방 이후 급격하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낙동강 주변 농작물 재배 여건 변화와 농업 관정의 취수량 부족 등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12일 한국수자원공사에 따르면 올해 6~8월 강정고령보와 달성보의 관측망 9곳 모두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지하수위가 낮아졌다. 변동 폭은 1m가 넘기도 했다. 특히 2012년 보 설치 이후 상승한 지하수위가 지난 한 해 사이에 급격하게 떨어지는 추세를 보였다. 달성보 남리 관측망에선 올 6~8월 평균 지하수위가 전년 동기(12.88m)보다 1.05m나 낮은 11.83m(표고 기준)였다. 이곳의 지하수위는 2012년 12.73m에서 시작해 2014년 13.16m까지 상승했다가 올해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관측망 중 4곳(44%)은 2012년 관측 시작 이래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강정고령보 곽촌리'매곡리'봉촌리와 달성보 남리 관측망에선 가장 높았던 해보다 0.14~1.32m 떨어졌다. 달성보 하리'상리 관측망은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지속적으로 수위가 높아지다가 올해 이례적으로 낮아졌다.
이처럼 갑작스러운 지하수위 변동은 우려할 만하다. 한국수자원공사 측은 보 설치 이후 안정화돼 가던 지하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주변 농작물 재배에 미칠 영향을 주시하고 있다. 저지대 침수에 대비해 흙을 메워 지면을 높인 농경지에선 물이 빠지는 현상 등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농업용 관정 취수량이 부족할 수 있다는 염려도 나온다.
이에 따라 보 개방으로 인한 지하수위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주변 영향에 대한 조사'분석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지하수위가 단기간에 상승했다가 하락하면서 지하수 유량뿐 아니라 주변 저지대 등에도 변화가 나타날 수 있어 면밀하게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한국수자원공사 관계자는 "지하수위가 내려가도 주변 건축'구조물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예상하지만 농경지에는 변화가 올 수 있고, 관정 취수량도 줄어들 가능성이 있어 지속적으로 감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