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비 엇갈리는 국민의당·바른정당

입력 2017-10-12 19:11:30

거대 양당의 힘겨루기로 정국이 꼬일 때마다 캐스팅보트를 행사하며 존재감을 과시해 온 원내 제3당(국민의당)과 제4당(바른정당)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 아들의 취업비리 의혹 폭로조작 파문으로 당이 뿌리째 흔들렸던 국민의당은 안철수 대표 선출 이후 빠르게 안정을 되찾고 있는 반면 보수혁신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하는가 싶던 바른정당은 당의 진로를 두고 내홍이 깊어지면서 분당 위기에 몰렸다.

양당의 진로는 정계개편 방향과 직결되기 때문에 정치권이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안철수 대표는 12일 초재선 국회의원들을 서울 여의도의 한 식당으로 초대해 제2창당 작업과 국정감사 등에 관한 의견을 교환했다. 취임 후 전국을 돌며 민심수습에 나섰던 안 대표가 본격적으로 당무를 챙기기 시작한 것이다.

김철근 국민의당 대변인은 "불미스러운 일로 위기를 겪었던 당이 이제 완연한 평시체제로 전환한 것으로 봐도 좋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특히, 국민의당은 안 대표를 포함해 손학규, 박지원, 천정배, 정동영 등 당의 간판급 인사들이 내년 지방선거에 대거 출마해 당의 미래를 스스로 개척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면서 활력을 되찾는 분위기다.

그러나 바른정당은 점점 더 수렁으로 빠져들고 있다.

당의 중진들이 공개적으로 한국당 중진들과 만나 통합 청사진을 논의하고 있어 당의 진로를 결정하는 무대가 될 내달 전당대회 개최여부조차 불투명한 상태다.

정치권에선 이 같은 분위기가 지속될 경우 야권의 정계개편이 생각보다 빨리 다가올 수도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바른정당 관계자는 "내년 지방선거에서 보수진영이 단일대오를 형성해 여당과 맞서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지만 한국당 복당 명분이 부족한 실정"이라며 "양당 중진들이 합당 차원을 넘어서는 보수대통합 카드를 들고 나온 이유도 여기에 있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