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형 스리백 10분만에 붕괴, 선수 경기력·불안한 전술 문제점 모두 드러난 경기
'2무 2패 3득점 7실점'
슈틸리케 감독 경질 후 우여곡절 끝에 한국 축구대표팀 감독에 오른 신태용호의 성적이다. 신 감독의 한국 축구대표팀 사령탑 데뷔전이었던 2018 러시아 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 9차전 이란전에서 0대0 무승부를 기록했고, 이어 벌어진 최종예선 최종전 우즈베키스탄전 역시 득점 없이 비겼다.
그리고 한 달 뒤 한국 대표팀은 유럽 원정 2연전에 나섰고 지난 7일 러시아와의 평가전에서 무려 네 골을 내주며 2대4로 패했다. 이어 10일 열린 모로코와의 경기에서도 1대3으로 졌다. 그것도 주전이 대거 빠진 1.5군의 모로코에 전반 시작 10분 만에 두 골을 내주는 등 졸전 끝에 참패를 당했다. 후반에 페널티킥으로 한 골을 만회한 게 그나마 다행이었다.
문제는 출구가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당장 한 경기 한 경기 승패에 목을 매선 안 되지만 갈수록 무너지고 있는 팀을 보고서도 제대로 된 진단과 대책, 희망을 내놓지 못하는 답답함이 가장 큰 문제다.
실제 신태용 감독은 이날 모로코 참패 이후 '선수들이 이 정도로 몸이 무겁고 경기력이 떨어진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 반성해야 한다', '경기력이 그렇게 떨어질 줄 미처 생각하지 못했다'는 등 원론적인 말만 했을 뿐 이렇다 할 문제 분석이나 책임 있는 모습을 보이지 못했다.
실제 이날 공격, 수비, 미드필더 할 거 없이 선수들의 경기력도 문제였지만 정리되지 않고 불안한 전술, 시스템이 더 큰 문제였다. 스리백을 들고 나왔던 신 감독은 경기 초반에 두 골을 내주며 무너지자 28분 만에 포백으로 전환하며 전술 실패를 자인하기도 했다. 공들였다는 세트피스 역시 위협적이거나 날카롭지 못했다.
10일 모로코전은 신태용 감독 부임 후 최악의 경기였다. 신 감독도 경기 후 "스코어에 지고 경기 내용에서도 참패를 인정한다"고 했다. 이처럼 대표팀의 경기력이 갈수록 뒷걸음치고 있지만 돌파구가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졸전이 이어지는 한 최근 불거진 '히딩크 복귀' 논란을 넘어 '제2의 히딩크' 사태가 발생하지 않으리라 아무도 장담할 수 없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