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만이 땅에 떨어진 인터넷 시대, 詩로 고통과 시간 견뎌"
"낭만이 땅바닥에 떨어진 시대라지만, 시(詩)는 여전히 고통과 시간을 견디는 힘이 되어 줍니다."
최영미 시인이 10일 매일신문 11층 강당에서 열린 '매일 탑 리더스 아카데미'에서 '고통과 시간을 견디는 힘, 시를 읽는 오후'라는 주제로 강연을 했다.
최 시인은 '흉터와 무늬', '서른, 잔치는 끝났다' 등 시집을 내놓았으며 2006년 제13회 이수문학상 시 부문에서 수상한 바 있다.
그는 시에서 영감을 받아 만든 다른 예술작품, 다른 예술에서 기인한 시를 소개했다. 최 시인은 "시와 이미지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다. 인상이 시가 되고, 시의 인상이 다른 예술로 거듭난다"고 설명했다.
"저렇게 많은 별들 중에/ 별 하나가 나를 내려다본다/ 이렇게 많은 사람 중에서/ 그 별 하나를 쳐다본다."
김광섭 시인이 쓴 시 '저녁에'의 일부다. 한국 모더니즘 화풍을 토착화한 것으로 평가받는 김환기 화백은 이 시를 읽고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라는 작품을 그렸다. 이 그림 속 푸른색 계열의 수많은 점들은 시에서 표현된 별을 묘사한 것으로 해석된다.
W.H. 오든은 시 '장례식 블루스'에서 '그는 나의 동서남북이었으며 나의 일하는 날이자 주말의 휴일이었다'는 감각적인 구절을 통해 아끼는 이의 죽음과 상실감을 표현했다. 이 시는 영화 '네번의 결혼식과 한번의 장례식'에서 사랑하는 이의 죽음을 탄식하는 극 중 대사로 재탄생해 슬픔을 더욱 극대화했다.
또 영국의 낭만주의 시인이자 화가인 윌리엄 블레이크는 신에게도 인간과 마찬가지로 선과 악의 품성이 있으리라 생각했다. 런던 최초의 공장이 세워진 것을 지켜본 블레이크는 '예루살렘은 이 어둡고 사탄 같은 제분소 사이에 세워졌단 말인가?'라는 구절을 통해 급격한 산업혁명을 방관하고 기존 산업에 종사하던 이들이 실직하도록 내버려둔 신과 사회를 비판했다.
최 시인은 "급격한 산업혁명기, 시인과 화가 등 예술가들은 기존 질서에 반하는 낭만주의로 시대의 흐름에 반발했다. 또 실제 사물보다는 그것이 뿜어내는 인상과 감각을 표현하는 인상주의를 탄생시켰다. 국내 이미지즘 시인 김수영도 독재에 항거하며 민중 자유의 회복을 부르짖었다"며 "오늘날 시를 쓴다는 것은 내 시가 인터넷에 모두 업로드되는 가운데도 버티는 것이다. 과거 김수영 시인이 남긴 말처럼, 죽는 날까지 '아무도 하지 못한 말을' 하며 살고 싶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