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대출 문턱 못 넘은 서민 몰려…기업대출도 지난해보다 2배 달해
가계'기업이 저축은행에 빌린 돈이 48조원을 넘어섰다. 9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7월 기준 저축은행 여신 잔액은 48조929억원으로 집계됐다. 여신 잔액은 2011년 12월(50조2천376억원) 이후 5년 7개월 만에 최대치다. 저축은행 여신은 2010년 5월 65조7천541억원까지 늘었다가 이듬해 저축은행 부실사태를 계기로 꾸준히 줄어 2014년 6월에는 27조5천698억원까지 축소됐다. 그러나 2014년 하반기부터 다시 증가하기 시작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부동산 규제 완화 등에 따른 가계대출 증가에 영향을 받았다. 저축은행 대출은 2015년 5조5천557억원(18.5%) 늘어난 데 이어 작년에는 7조8천808억원(22.1%)으로 뛰었다.
올해 들어서도 1∼7월 4조6천283억원(10.6%) 늘면서 작년 같은 기간 증가액(4조4천947억원)을 웃돌았다. 월평균 6천611억원씩 불어난 셈이다.
은행의 대출 문턱을 넘지 못한 취약계층과 자영업자를 비롯한 중소기업들이 저축은행을 많이 찾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특히 올해 들어 저축은행 기업대출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7월 말 잔액은 27조3천749억원으로 작년 말보다 2조7천924억원(11.4%) 늘었다. 지난해 1∼7월 증가액 1조4천929억원과 비교하면 거의 2배 규모다.
이 같은 기업대출 증가는 이른바 '풍선효과'에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금융당국이 가계대출 급증세를 우려해 비은행권까지 '대출 옥죄기'에 나서자 저축은행들이 발 빠르게 기업대출로 눈을 돌린 셈이다.
여기에 내수 부진에 힘겨워하는 자영업자들의 기업대출 수요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CEO컨설팅 고건영 팀장은 "미국 정책금리 인상 등의 영향으로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오르면 취약계층의 원리금(원금과 이자) 상환 부담이 커질 수 있다. 이 경우 가계와 기업의 부담이 커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