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제품 매입·사회 환원 등 향상…인력 고용·지방세 납부 실적 하락
대구시는 그동안 백화점'대형마트 등 대기업 유통업체들의 지역기여도를 높이고자 다방면의 노력을 기울여왔다. 시는 대기업 유통업체들을 대상으로 ▷지역금융 이용 ▷지역제품 매입 ▷지역인력 채용 ▷지역업체 입점 등 지역기여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한편, 유통업상생발전협의회를 열고 유통업체들의 이행 실태를 점검하고 있다.
시가 올 3월 발표한 유통업체들의 지역기여도(2014~2016년) 조사에 따르면 유통업체들은 최근 3년간 지역제품 매입, 지역사회 환원, 정기예금 급여이체, 용역발주 등 대부분 항목의 지역기여 실적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2016년 기준(전년 대비)으로 항목별로 살펴보면 지역제품 매입은 9.4%→10.9%, 지역사회 환원은 54억원→66억원, 정기예금은 711억원→807억원, 용역발주는 51%→53.5%로 증가했다. 반면 지역인력 고용은 95.7%→95.4%, 지방세 납부는 135억원→121억원으로 실적이 하락했다.
시는 이런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대형 유통업체 중 '베스트'(Best) 기업과 '워스트'(Worst) 기업을 선정하기도 했다.
시는 또 대형마트가 인근의 전통시장과 협력사업을 추진하거나, 노후시설 개선을 지원하는 등의 '1대형마트 1전통시장' 전담지원제도도 시행하고 있다. 대형마트 입점으로 상권 침해를 겪는 전통시장을 위한 공동마케팅, 점포지도, 특성화사업, 장보기 등 상생 노력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시가 이처럼 대기업 유통업체의 상생협력을 강조하는 이유는 대기업 유통업계가 대구에서 꾸준한 확장세를 보이기 때문이다.
시에 따르면 올 3월 기준으로 대구의 대기업 유통업체는 총 30곳이다. 인구 대비 8만3천 명당 1곳으로 울산, 부산 다음으로 인구 대비 입점 비율이 높다.
여기에 올 4월 동구 신천동 대백아울렛 개점(올해 4월), 북구 칠성동 롯데마트(올해 10월 입점), 중구 남산동 효성 해링턴 플레이스 탑마트(심의 중), 코스트코홀세일(내년 1월 완공)의 신서동 혁신도시 이전, 수성구 알파시티 롯데복합쇼핑몰(올해 착공) 등 대형 유통업체의 잇따른 신규 진입으로 지역 유통업계에 큰 변화가 예상된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백종원 갑질 비판하던 저격수의 갑질…허위 보도하고 나 몰라라
'곳간 지기' 했던 추경호 "李대통령 배드뱅크 정책 21가지 문제점 있어"
李대통령, 사법고시 부활 거론에…국정위 "논의 대상인지 검토"
권오을 보훈장관 후보자, 반환해야할 선거비 2.7억 미납
李정부, TK 출신 4인방 요직 발탁…지역 현안 해결 기대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