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전시디자인업체 한목소리…"기초금액 60∼70%서 낙찰 대부분 손해보며 일감 받아"
대구시 출자출연기관인 ㈜엑스코가 최저가 입찰을 고수, 지역 업체로부터 과도하게 이익을 취한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대구경북 전시디자인설치업계에 따르면 엑스코는 지난 2013년 이후 전시회 부스 설치업체를 선정할 때마다 대부분 최저가 입찰제를 따랐다. 최저가 입찰제란 조달 입찰업체 가운데 가장 낮은 가격을 제시한 업체가 일감을 얻는 방식이다.
지난해 엑스코가 낸 전시 입찰공고 30여 건 가운데 1건(협상에 의한 계약)을 제외한 모든 공고가 최저가 입찰제로 이뤄졌다.
업계는 엑스코의 이런 입찰 방식 탓에 손해를 감수하며 일감을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대구 한 전시디자인 설치업체 관계자는 "대구경북 전시설치업체들은 자재비'인건비 상승 부담이 높은 가운데도 엑스코가 입찰 공고에 제시한 기초 금액의 60~75%에 그치는 가격을 제시해 낙찰받고 있다"며 "이 때문에 업력이 길고 직원이 많은 업체는 대규모 전시에만 입찰하고, 업력이 짧은 소규모 업체들만이 경력이라도 쌓겠다며 저가 입찰에 뛰어든다"고 말했다.
전국에는 엑스코 외에도 코엑스(서울), 킨텍스(고양), 벡스코(부산), 김대중컨벤션센터(광주), JCC제주(제주), 세코(코엑스 창원사무소), DCC(대전), 송도컨벤시아(인천), 구미코(구미) 등 다수의 전시컨벤션시설이 있다.
이 가운데 코엑스와 킨텍스, 벡스코 등은 엑스코처럼 주로 최저가 입찰제를 쓴다. 반면 김대중센터와 송도컨벤시아 등은 낙찰하한율(사업 기초 금액 대비 입찰하한가 비율)을 87% 전후로 정하고 제한경쟁입찰제 또는 최저가 입찰제를 실시, 계약 업체의 수익을 엑스코보다 높게 보장하고 있다.
그렇다 해서 다른 지역으로 출장을 갈 수도 없는 노릇이다. 업종 특성상 공사 기간이 길고 운반할 자재가 많은 탓에 출장 업무로는 수지가 맞지 않아서다. 사실상 엑스코에 매달릴 수밖에 없는 이유다.
업계는 엑스코가 대구시 지분이 79%에 달하고 다른 공공기관처럼 지방계약법을 준수하고 있어 사실상 공공기관이라며 "업체들로부터 얻는 이익을 극대화할 것이 아니라 지역 업계와 상생해 달라"고 요구했다. (사)한국전시디자인설치협회 대구경북지회 관계자는 "수익성 문제도 엑스코가 양질의 전시사업을 더 많이 발굴'유치해 해결하는 것이 옳다"고 말했다.
엑스코 측은 주식회사 형태로 운영하는 이 기관 특성상 최저가 입찰제를 쓸 수밖에 없었다고 주장했다. 정부'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등으로부터 자금을 지원받는 타 지역 시설과 달리 엑스코는 지방 재정 의존도를 낮추고자 주식회사 형태로 운영하는데, 비교적 불리한 상황에서 운영자금과 직원 임금을 감당하고자 부득이 최저가 입찰제를 유지했다는 설명이다.
엑스코 관계자는 "앞서 전시장치 설치에 대한 표준 시장가격이 없고, 지역별 물가 차이나 자재확보 능력에 따른 업체별 수익 편차가 커서 기초금액 산정 및 다른 입찰제도 도입이 어려웠다"며 "정부의 최저가 입찰제 자제 기조와 지방계약법 개정이 예정된 만큼 올 9월을 전후해 입찰 방식 변경을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