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통합 대구공항 이전지 과감한 지원 필요하다

입력 2017-06-09 00:05:00

통합 대구공항 이전과 관련해 대구시가 책정해놓은 이전지역의 지원사업비가 턱없이 적다고 한다. 주민을 위한 지원사업비가 3천억원에 불과해 군공항 이전을 추진 중인 광주'수원의 지원 규모에 비해 크게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 액수로는 효율적인 주민지원 사업이 어렵다고 하니, 주먹구구식 행정의 전형이 아닐 수 없다.

경북도가 경북정책연구원에 의뢰한 '대구공항 통합이전 주변지역 지원방안 연구용역'에서 지원사업비 규모와 비율이 지나치게 적어 새로 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돼 공감을 얻었다. 경북정책연구원은 지원사업비 액수가 광주'수원에 비해 훨씬 적은데다 세부적인 개별 사업비마저 현저하게 적게 책정해 지원사업의 실행 가능성이 낮다고 밝혔다. 이는 대구시가 이전지역의 주민 지원과 갈등 관리에 대해 태무심했다는 얘기와 다를 바 없다.

대구시는 주민생활지원사업, 소음피해저감사업, 공공시설지원사업, 지역개발지원사업 등 4개 분야의 지원사업비로 3천억원을 책정한 반면, 광주는 4천120억원, 수원은 5천11억원을 책정했다. 대구는 광주'수원과 달리 군공항과 민간공항을 함께 이전하는 점을 감안하면 지원사업비 규모를 훨씬 더 키워야 한다는 것이다. 광주'수원의 총사업비 대비 지원사업비 비율이 각각 7.7%, 7.3%인 점을 감안하면 대구는 7%대에 맞추더라도 5천억원 정도는 돼야 한다.

대구시는 지원사업비 증액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는 만큼 큰 문제는 없을 것이다. 그렇지만, 대구시의 자세만큼은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대구시는 아직 이전 예정지가 정해지지 않았기에 이전사업비 자체를 가볍게 여겼는지 모르겠지만, 경북도와 경북정책연구원이 이렇게 문제 제기를 하기 전에 일찌감치 증액하는 것이 옳았다.

유력한 이전 후보지인 군위 군민들의 반대 시위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주민들의 분위기와 의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지원사업비를 소홀하게 여겼다는 것은 대구시가 욕먹어 마땅한 일이다. 공항 개항 때까지 숱한 난관이 도사리고 있다. 관문공항으로 거듭나는 날까지 긴장의 끈을 놓지 말고,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