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고려시대 불교 용기 주장…최응천 교수 "사리기로 사용"
비구니 사찰인 청도 운문사에 있는 '동호'(銅壺), 즉 동항아리는 고려시대 제작된 불교 용기로 알려졌다. 그런데 이 동호가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뒤 고려시대부터 사리기로 사용됐다는 주장이 나왔다.
최응천 동국대 교수는 10일 청도 청소년수련관 다목적홀에서 '운문사의 역사와 문화'를 주제로 열리는 학술대회에서 보물 제208호인 운문사 동호의 제작 시기와 용도에 관한 새로운 견해를 담은 논문을 발표한다.
운문사 동호는 높이 55㎝, 아가리 지름 19.5㎝, 몸체 지름 31㎝로, 뚜껑 손잡이에 연꽃잎 6장과 불꽃 모양 장식이 달렸다.
7일 배포된 발표문에 따르면 최 교수는 이 동호에 대해 "전체가 검은색을 띠고 있으며, 몸체의 두께가 일정하고 매끄럽다"며 "항아리의 전반적 형태에서 균형감이 느껴지고 치밀한 주조 기법으로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고려시대보다 앞선 통일신라시대 유물로 추정된다"고 평가했다.
그간 운문사 동호가 물이나 음식을 담는 용기로 추정됐던 이유는 '감로준'(甘露樽)이라는 명칭이 전해오고 있기 때문이다. '준'(樽)은 제사 때 술이나 물을 넣는 항아리 모양 그릇을 뜻한다.
그러나 최 교수는 동호의 뚜껑 손잡이에 불길 모양 장식물인 '화염보주'(火炎寶珠)가 있다는 데 주목했다.
그는 "화염보주는 경주 감은사지 서삼층석탑에서 나온 7세기 후반 사리기의 청동 외호(外壺)가 기원이 된다"며 "이후 사리기에서 화염보주는 사라졌지만, 통일신라 후기부터 고려시대 사이에 세워진 승탑이나 탑비의 상부에서 유사한 장식이 발견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화염보주는 사리신앙과 연관돼 있다는 점에서 동호도 사리기로 쓰였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최 교수는 동호 뚜껑의 불꽃 장식물이 처음부터 있었던 것이 아니라 고려 정종 3년(1067) 개조되면서 부착됐다고 주장했다.
그는 "뚜껑 내부에 별도로 손잡이와 결합된 흔적이 남아 있고, 지금도 손잡이 하단부가 완전히 고정되지 않아 흔들린다"면서 "통일신라시대에 제작해 다른 용도로 쓰다가 고려시대에 개조할 때 손잡이만 별도로 만들어 사리기로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