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서 치매 전 단계의 고령자를 4년간 추적 조사한 결과 절반에 가까운 인원이 정상 수준으로 회복했다는 국립기관의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요미우리신문이 7일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 국립장수의료연구센터는 아이치(愛知)현 오부(大府)시 주민 중 65세 이상 고령자 4천200명을 2011년에 조사한 뒤 이 중 치매 전 단계로 불리는 경도인지장애(MCI)로 나타난 고령자를 4년 후 재조사했다.
MCI는 기억력과 주의력 등 인지기능은 저하되지만 일상생활에는 큰 지장은 없는 상태를 일컫는다. 장수의료연구센터가 국제적 MCI 판정 기준에 따라 150개 항목에 답하는 형식으로 인지 기능을 검사한 결과 당초 740명(18%)이 MCI로 판정됐지만 4년 후 재조사에선 이들 중 46%가 정상 범위로 돌아왔다. 치매로 이어진 비율은 14%였다.
MCI 검사는 기억력, 주의력, 처리속도, 실행능력 등 4개 항목으로 나뉘어 있는데, 1개 항목에서만 검사 결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난 고령자가 정상으로 돌아온 비율은 39~57%였다.
신문은 "문제가 있는 항목이 적은 고령자가 회복률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며 "이번 결과는 MCI로 판정돼도 개선되는 사례가 많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장수의료연구센터의 시마다 히로유키(島田裕之) 예방노년학연구부장은 "치매 예방을 목적으로 한 운동교실을 여는 등 오부시가 고령자 건강을 위해 힘써온 것이 영향을 줬을 가능성이 있다"며 "치매 위험을 낮추는 것으로 알려진 생활습관병 대책을 비롯해 행동개선에 힘쓰길 바란다"고 말했다. 센터는 향후 정상으로 회복한 고령자의 공통점을 분석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