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당 "대통령 5대 인사 원칙 위배"-국민의당 "개업식에 하자 심한 물건 못 팔아줘"

입력 2017-05-27 00:05:11

야권, 문 대통령 직접 해명 요구

야권이 문재인정부 신임 공직 후보자들의 과거 위장 전입 의혹을 집중 추궁하며 맹공세를 펴고 있다. 또 야권은 위장 전입은 문재인 대통령이 대선 기간 강조했던 '고위 공직 임용 배제' 5대 원칙에 위배된다는 점을 내세워 대통령의 직접 사과와 해명을 요구했다.

자유한국당은 26일 이낙연 국무총리'강경화 외교장관 후보자에 이어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가 위장 전입 논란에 휩싸이자 문 대통령의 입장 표명을 주장했다.

김명연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김상조 후보자의 위장 전입 사실이 새롭게 드러났다. 자녀의 중고교 진학 시기에 2차례 위장 전입을 했다는 것"이라며 "문 대통령이 위장 전입을 포함한 5대 비리 관련자에 대해 고위 공직에서 배제하겠다던 원칙에 위배된다"고 지적했다. 문 대통령이 주장한 5대 비리는 '병역 면탈' '부동산 투기' '세금 탈루' '위장 전입' '논문 표절'을 말한다.

김성원 대변인도 논평에서 "최근 문재인정부가 임명하는 인사들의 인사검증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고 비판에 가세했다.

국민의당도 위장 전입 문제에 엄격한 잣대를 들이댔다. 이언주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서 이 후보자 인사청문위를 개업식에 비유했고, "웬만하면 물건을 팔아주고 싶지만, 워낙 물건 하자가 심해서 팔아줄 수 없는 딜레마에 봉착해 있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이럴 경우에는 물건 파는 분이 해명하셔야 할 것 같다"며 문 대통령의 해명을 요구했다.

바른정당은 후보자들의 잇따른 위장 전입 의혹에 대해 문 대통령이 사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오신환 대변인은 논평에서 "공약집의 잉크가 마르기도 전에 첫 국무총리 후보자의 부인이 학교 배정을 위해 위장 전입한 사실이 드러났다. 결자해지 차원에서라도 문 대통령은 자격 미달 총리 후보 지명에 대해 겸손히 국민 앞에 사과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순리"라고 지적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