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중국인 관광 재개 상관없이 시장 다변화 노력 지속해야

입력 2017-05-22 00:05:01

대구시가 중국인의 한국 관광 재개를 염두에 두고 준비를 서두르고 있다. 대구 관광설명회 등 중국 관광시장을 겨냥한 세일즈 마케팅에 다시 고삐를 당긴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사드 배치를 둘러싼 한'중 간 냉기류로 인해 지역 관광시장이 크게 위축됐지만 새 정부 출범과 함께 양국 관계가 나아질 것이라는 기대가 커진 때문이다.

단체 관광객 수 등 중국 관광시장 규모는 우리 입장에서 무시할 수 없는 큰 시장이다. 관계 회복에 맞춰 대구시가 미리 대책을 세우는 것도 자연스럽다. 한국을 찾은 중국인이 지출한 총 여행 경비를 보면 지난해까지 최근 7년간 연평균 45.4% 증가했다. 지난해 18조원의 여행 경비를 한국에서 썼고 쇼핑 경비도 최근 6년간 연평균 56.1% 늘어 지난해 12조8천억원을 웃돌았다.

하지만 중국 당국이 '한류' 이벤트를 시작으로 한국 여행에 제재를 시작하고 올해 3월 중국인 관광객 한국 방문을 전면 중단시키면서 국내 여행업계, 면세점 등이 큰 손실을 냈다. 산업연구원은 직'간접 피해액을 모두 포함하면 최대 15조원에 달한다고 분석했다. 따지고 보면 중국 관광객은 우리 입장에서 득과 실이 모두 상존하는 양날의 칼인 셈이다.

불황 타개책으로 대구경북이 뒤늦게 동남아와 일본, 대만 등으로 마케팅을 다양화하고 적극 유치에 나선 것도 중국 일변도의 정책에 관한 반성이었다. 물론 치밀한 준비가 없었고 현지 분위기도 성숙되지 않아 이렇다 할 성과는 내지 못했다. 하지만 관광시장 다변화는 위기 분산 차원에서 중국인 관광 재개와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할 사안이다.

중국 관광시장의 해빙은 분명 반가운 일이다. 그렇다고 동남아 등 제3의 관광시장에 대한 관심과 교류 등 노력을 게을리해서는 안 된다. 만에 하나 사드 사태와 같은 일이 발생할 경우 국내 관광시장이 또다시 얼어붙는 등 어려움을 겪을 수 있어서다. 대구시와 여행업계는 중국은 중국대로 전략을 새로 짜고, 동남아 등 다른 국가의 경우 맞춤형 관광진흥책을 적용하면서 병행할 필요가 있다. 이는 급격한 관광환경 변화에도 지역 여행업계가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유일한 해법이기 때문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