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임기 내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zero) 시대' 실현을 약속한 가운데, 공기업에 근무하는 직원 3명 중 1명은 비정규직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 공기업 내 비정규직 비중은 지난 5년간 3%포인트(p)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가 2012년부터 5년간 국내 35개 공기업(시장·준시장형)의 비정규직 현황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현재 전체 직원 17만1천659명 중 비정규직(무기계약직 등 포함)은 33.2%인 5만7천31명에 달했다.
'신의 직장'으로 불리는 이들 공기업에서 지난 5년 동안 정규직이 5.8%(6천259명) 증가하는 사이에 비정규직은 무려 22.3%(1만392명) 급증했다. 그 결과 비정규직의 비중은 2012년 말(30.1%)과 비교하면 3.1%포인트 상승했다.
최근 비정규직 전원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기로 한 인천국제공항공사는 비정규직 비중이 무려 85.6%(6천932명)에 달했다.
한국마사회(81.9%, 3천984명), 한국공항공사(68.4%, 4천74명), 한전KDN(54.3%, 1천583명), 여수광양항만공사(50.3%, 147명)도 전체 직원의 절반 이상을 비정규직으로 채웠다.
울산항만공사(48.7%, 101명), 대한석탄공사(45.1%, 1천129명), 한국관광공사(43.4%, 458명), 한국수력원자력(38.9%, 7천358명), 한국남동발전(32.1%, 1천70명), 한국토지주택공사(30.2%, 2천617명)의 비정규직 비중도 30∼40%대로 높은 편에 속했다.
반면 한국가스기술공사의 비정규직 비중은 7.6%(113명)로 35개 공기업 중 가장 낮았고, 해양환경관리공단(8.9%, 54명),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9.7%, 27명)도 10%를 넘지 않았다.
5년 전과 비교해 비정규직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한국수력원자력으로 27.3%p 상승했다.
한국남동발전(19.3%p), 한국중부발전(18.1%p), 한국동서발전(18.0%p), 한국토지주택공사(15.6%p)도 10%p 이상 올라갔다.
반면에 인천항만공사는 14.1%p 낮아졌고, 한국마사회(-9.2%p), 한국전력기술(-8.5%p), 그랜드코리아레저(-6.8%p),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3.5%p),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3.2%p), 해양환경관리공단(-2.9%p) 등 14개 사도 비정규직 비중이 소폭 축소됐다.(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