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문재인 새 정부 출범 美와 北 압박 공조 낙관적"

입력 2017-05-16 16:55:55

"문재인정부는 미국 정부와 긴밀한 협력관계를 형성하고, 과거 '페리 프로세스'를 본뜬 새로운 대북 특사를 임명해야 한다." 스탠퍼드대 쇼렌스타인 아태연구센터(APARC) 소속 저명 한반도 전문가들은 15일 한국의 새 정부 출범에 맞춰 내놓은 공동 제안문에서 문재인 대통령 정부 출범을 '낙관적'이라고 평가하면서 이같이 촉구했다.

2008∼2011년 주한 미 대사를 지낸 캐슬린 스티븐스 선임연구원은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과 좋은 개인적 관계를 맺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며 "한국의 새 정부는 조속히 미국 정부와 회담 일정을 세우고 광범위한 주제와 관련해 논의할 준비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기욱 센터 소장(스탠퍼드대 사회학과 교수)도 트럼프 대통령이 이미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아베 신조 일본 총리 등과 회담을 한 것을 언급하면서, "문 대통령이 조속히 이를 따라잡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미국 정부가 하루빨리 국무부와 국방부의 아시아 정책 관련 고위 공직자를 임명하는 것이 대북정책 협력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들은 특히 1999년 윌리엄 페리 전 미 국방장관이 제안했던 페리 프로세스를 한반도 긴장완화를 위한 적절한 모델이었던 것으로 평가하면서 "문 대통령의 대북 포용 정책이 '적절한 시기에', '대북 특사의 지휘 아래' 이뤄진다면 올바른 방향으로의 진전이 될 것"이라고 한목소리로 말했다.

신 소장은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대북 특사를 통한 패키지 대북 문제 해결방안인 페리 프로세스는 사실상 임동원 프로세스였다"면서 "남북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현시점에서 '한국형 페리 프로세스'를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미'중'일'러와 유럽까지 5강 특사가 임명됐지만 정작 중요한 북한 특사는 빠진 것 같다"며 "당장 특사를 북한에 보내자는 것이 아니라, 대북 문제를 전담할 특사를 임명하는 것만으로도 북한에 큰 메시지를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