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대책 후폭풍 맞아…전기료 부담 덜어낼 대안, 미래경영 전망 어두워져
"포스코 위기를 두고만 볼 수 없다"며 제철소 내 청정 화력발전소 건립을 요청하는 포항시민 33만 명의 서명부가 정부에 전달되고, 경상북도도 이를 공식 건의하는 등 발전소 건립 추진운동이 시작 1년 6개월 만에 무산될 위기에 처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미세먼지 감축 응급대응을 발표하며 30년 이상 노후 석탄화력발전소에 대한 '일시가동중단'(셧다운)을 전격 지시했기 때문이다.
건설을 추진 중이거나 계획하고 있는 화력발전소에 대한 언급은 없었지만, 후보시절 '건설 중인 화력발전소 가운데 공정률 10% 미만은 원점 재검토'를 밝힌 바 있어, 포항제철소 내 화력발전소는 첫 삽도 떠보기 전에 묻힐 가능성이 높아졌다. 포스코의 '생명줄'을 좌우할 전기료 부담을 덜어 낼 유일한 대안이었던 화력발전소가 문 대통령의 발표로 사실상 물 건너갔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포항제철소의 미래경영 전망은 매우 어두워졌다.
포항 투자촉진 추진위원회(이하 투자추진위)는 지난 2015년 11월 27일 33만 명의 포항시민 서명부를 정부에 전달하면서, "화력발전설비를 포스코가 도입하더라도 '(화력발전소 설치) 이전에 비해 포항제철소 시설 전체 오염 배출량을 낮게 유지할 수 있다'는 법 예외규정을 충분히 충족할 수 있다"며 건립 타당성을 주장했다. 포스코도 화력발전설비 도입 전에 가동 중인 소결공장을 폐쇄하고, 내부환경오염설비 시설도 확충하면 법 예외규정 요건을 맞출 수 있다고 강조했다. 상당수 포항시민들도 생존을 걸고 경영정상화에 나선 포스코의 입장과 포스코의 지역경제 기여도, 오염저감대책, 설비구축에 따른 대규모 투자 등을 감안해 화력발전설비 도입을 허가해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경북도도 지난해 4월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에게 "침체한 지역경제를 살리는 차원에서 포스코 화력발전소 건립을 긍정적으로 검토해달라"고 건의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