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미 FBI국장 해임으로 로젠스타인 법무 부장관 행보에 관심

입력 2017-05-11 16:35:06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제임스 코미 연방수사국(FBI) 국장을 전격 해임함으로써 워싱턴 정가가 그 파장에 휘청이고 있다.

언론들이 코미 국장의 해임이 트럼프 대통령 최대 정치 위기를 촉발했다고 지적하는 가운데 해임의 발단이 된 러시아 내통 의혹 조사가 향후 조세나 건강보험 등과 같은 주요 국정 현안 과제들을 제치고 정가의 최대 관심사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코미 국장의 해임으로 이미 러시아 내통 의혹 스캔들이 '워터게이트 영역에 들어섰다'는 언론들의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코미 국장 해임의 직접적 단초가 된 해임 건의 메모를 작성한 로드 로젠스타인 법무 부(副)장관이 주목을 받고 있다.

로젠스타인 부장관은 상관인 제프 세션스 법무장관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에 전달된 문제의 해임 건의 메모에서 지난해 대선 과정에서 민주당 힐러리 클린턴 후보의 이메일 사건에 대한 코미 국장의 처리 방식을 비판하면서 이로 인해 FBI의 평판과 신뢰성이 훼손됐다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코미 국장이 '클린턴 후보를 처벌할 어떤 근거도 발견하지 못했다'고 공개 선언함으로써 법무장관의 권한을 침해했다고 지적했다.

지난달 상원의 인준청문회를 통과한 로젠스타인 부장관은 30년간을 법무부에서 봉직한 정통 법조인으로 트럼프 행정부에서 가장 잘 된 인선 가운데 하나로 지적될 만큼 정파를 초월한 지지를 받았다.

따라서 트럼프 행정부의 파당적 성격이 짙은 코미 국장의 해임에 그가 간여한 데 대해 의외라는 시선이 쏟아지고 있다.

코미 국장이 이메일 수사 처리 방식과 관련해 법무부 내에서 비판을 받아온 게 사실이나 로젠스타인 부장관이 그의 해임 건의를 제기한 시기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시기적으로 정치적 고려는 없었는지 등에 관한 것이다.

명문 펜실베이니아대 와튼 경영대학원과 하버드 법학대학원을 거친 로젠스타인 부장관은 과거 빌 클린턴 대통령의 성추문 스캔들을 조사한 케네스 스타 특별검사팀의 일원이었으며 지난 2005년 조지 W. 부시 대통령에 의해 메릴랜드주 연방검사로 임명됐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민주당 정권이 들어선 후 살아남은 3명의 연방검사 가운데 한 사람이었다.

그는 부시-오바마 행정부에서 탁월한 역량과 정치적 중립성으로 민주-공화 양측으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상원의 인준청문회 당시 워싱턴포스트(WP)는 그의 법무 부장관 지명을 트럼프 행정부 최선의 인사 가운데 하나로 지적했다.

그러나 코미 국장의 해임 건에 직접 관여함으로써, 한때는 대선 공신 평가를 받아온 코미 국장을 전격 내친 트럼프 대통령의 처사가 놀라운 만큼이나 로젠스타인 부장관의 해임 건의도 그답지 않은 의외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고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지적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