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이력서 권고 10년 지났는데도…기업 86.7%, 이력서에 신상 질문

입력 2017-05-11 00:05:00

나이·성별·출신교 가족관계 순…질문 기업 93.4% "평가에 반영"

기업 10곳 중 9곳은 이력서에서 지원자의 개인 신상 관련 질문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사람인이 기업 인사 담당자 263명을 대상으로 '이력서에서 개인 신상 질문을 하는지 여부'를 조사한 결과 86.7%가 '그렇다'고 답했다. 지난 2007년 정부가 이력서에 사진, 연령 등 개인 신상을 기재하지 않도록 하는 '표준이력서' 시행을 권고한 지 10년여가 지났음에도 여전한 모습이었다.

주로 물어보는 개인 신상으로는 연령이 86%(복수 응답)로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사진(65.4%), 성별(63.2%), 출신학교(48.7%), 가족관계(41.2%), 혼인 여부(29.8%), 종교(13.6%), 가족 신상(12.7%) 등의 순이었다.

해당 항목을 작성 또는 제출하는 이유로는 '업무상 필요한 요건이라서'(43.4%, 복수 응답)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서 '지원자 본인 확인 등 검증을 위해서'(39%), '지원자의 역량을 파악하기 위해서'(34.6%), '조직 적응과 관련된 조건이라서'(21.9%), '인사 정책상 필요한 항목이어서'(21.1%)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개인 신상 항목을 작성하지 않고 누락한 지원자에게는 평가에 불이익을 준다는 기업도 절반(45.6%)에 달했다. 불이익 유형은 '감점'(55.8%), '무조건 탈락'(44.2%)이었다.

이와 반대로 개인 신상 내용을 묻지 않는 기업(40개사)은 그 이유로 '업무상 필요하지 않은 요건이어서'(60%, 복수 응답), '평가에 편견이 생길 것 같아서'(25.7%), '지원자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서'(11.4%) 등을 들었다.

개인 신상을 질문하는 기업의 93.4%는 이를 평가에도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에 반영하는 항목은 연령(73.7%, 복수 응답)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어 성별(39.4%), 출신학교(31.9%), 사진(23.5%), 가족관계(19.2%), 혼인 여부(13.1%) 등이 있었다.

개인 신상이 평가에 미치는 영향은 평균 50% 수준으로 집계됐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