촛불민심 대변자 역할 자임 서민 정책에 강한 드라이브, 사드 해법이 안보 기조 잣대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 운영 첫 번째 기조는 '개혁'이다. 최순실 국정 농단 사태로 폭발한 촛불 민심 대변자 역할을 자임해 온 만큼 사회 적폐를 청산하고 서민 중심의 국정 운영에 강한 드라이브를 걸 전망이다.
문 대통령은 당선이 사실상 확정된 9일 오후 11시 50분쯤 광화문광장에서 개최한 당선 인사를 통해 "국민이 염원하는 개혁과 통합, 두 가지 과제를 모두 이루겠다"며 "정의가 바로 서고 원칙을 지키는 당당한 대한민국을 건설하겠다"고 선언했다.
이에 앞서 그는 자신의 마지막 유세인 광화문 연설에서도 강력한 개혁 의지를 드러냈다. 그는 양복 상의를 벗고 소매를 걷어붙인 채 "개혁이 먼저다. 박근혜 탄핵'구속된 것 말고 우리 대한민국이 달라진 것이 없다. 청산은 아직 시작도 못 했다"며 "저 문재인, 확고한 개혁 위에서 국민통합을 완성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기업을 겨냥해 "동네빵집, 문구점, 골목상권까지 장악한 재벌대기업은 더 이상 없다"며 "'일자리는 민간과 기업이 만드니 정부는 그냥 있겠다'는 나라는 없다. 책임 정부를 약속한다"고 했다.
문 대통령이 개혁 드라이브에 나서면서 한편으로는 야당 동의 등 협치 행보에 무게를 둘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미 적폐 대상으로 규정한 자유한국당과의 협치도 가능하다고 선언한 상황이다.
여당이 된 더불어민주당의 경우 120석으로 원내 1당의 위상을 갖고는 있으나 전체 의석수에 비교하면 40%에 미치지 못한다. 문 대통령이 추진하려는 부수 법안이나 예산을 처리하려면 한국당 등 야권의 협조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한국당은 현재 30%가 넘는 의석을 차지하고 있고, 국민의당과 바른정당도 각각 10%가 넘는 의석수를 확보한 상태이다.
한편 문 대통령이 개혁 과제 가운데 하나로 꼽는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THAAD) 배치 문제를 어떻게 풀지에 따라 외교'안보 기조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다음 정부가 해결해야 할 과제'로 분류해 온 만큼 그의 시급한 현안으로 사드 문제가 부상한 상황이다.
또 긴장이 감도는 동북아 정세 속에서 남북 정상회담을 먼저 추진할지, 한미 정상회담을 먼저 할지의 선택도 문 대통령이 향후 5년간 추진할 정책 노선의 중요한 잣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